중국산 농업용 드론이 국내 시장을 완전 잠식함으로써 국산 드론의 기술적 자생력을 상실하게 되어 특단의 대책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일고 있다. 

최근 5년간 농업용 드론에 대한 정부 융자지원액 가운데 중국산 드론이 차지하는 비율이 2017년 62.6%에서 2020년 91.1%까지 늘어난 것으로 파악됐다. 융자액은 2017년부터 올해까지 모두 139억 원이었는데 중국산 드론이 112억 원으로 전체의 80.7%를 점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로써 국내 영농 데이터까지 중국에 넘어갈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어 또 다른 우려를 야기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국내 드론의 기술개발과 생산역량을 확보할 수 있을 때까지 만이라도 획기적 정책대안이 강구되기를 업계는 촉구하고 있다. 

우리는 이 시점에서 이를 심기일전의 계기로 삼아 시야를 확 넓혀야 한다고 본다. 주변 유관기관·단체의 사업성격을 면밀히 파악하여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모색하는 것이다. 예컨대 항공안전기술원이나 한국드론산업진흥협회 등은 드론 생태계를 형성할 수 있는 다각적 지원체계를 갖추고 있는 조직이다. 이들 기관·단체의 활용이 하나의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국토교통부 산하 공공기관인 항공안전기술원은 지난 20일 드림플러스 강남서 ‘제3회 2023 드론 기업 투자설명회’를 개최한 바 있다. 10개 투자사와 ‘드론기업 투자유치 지원사업’ 참여기업 14개 사가 참여한 이번 설명회는 드론 스타트업·벤처기업의 초기 자금확보를 지원하고 드론 우수 기술력을 국민에게 알리기 위해 마련됐다. 지난 5월 인천 송도에서 개최된 제2회 투자설명회 개최 이후 현재까지 210억 원 규모의 투자유치를 확정한 것으로 알려졌다. 

기술원은 항공안전에 필요한 전문인력을 양성하여 항공사고 예방에 관한 업무를 수행하는 기관이다. 기술원은 2020년 국토교통부로부터 위임 받은 ‘드론 기업지원 허브 운영’ 사업의 일환으로 드론기업 투자유치 사업을 추진하는 외에도 판교 제 2 테크노밸리의 드론 창업지원센터 운영을 통해 드론 스타트업 업무공간 제공, 시제품 제작, 국내·외 박람회 참가, 인증과 함께 지식재산권 출연 등 다각적 지원을 하고 있다. 이 밖에 드론과 관련기술의 연구·개발에 필요한 드론의 지상·비행시험을 누구나 할 수 있는 인천 드론 비행시험센터도 운영하고 있다. 

한편 드론산업의 세계화를 목표로 지난 2015년 설립된 한국드론산업진흥협회는 정부과제 수행 등 다양한 사업을 전개하고 있다. 국내 유수의 드론 생산 업체 거의가 회원으로 가입하고 있는 협회는 드론 융합 얼라이언스 분과위원회를 두고 있는데 국방에서부터 농림어업·물류 등에 이르기까지 17개 분야가 망라돼 있으며 위원수만 해도 분과위별로 수십명에 이르고 국방분과위는 110명에 달한다. 

이같이 방대한 조직을 통해 정부과제 등을 충실히 진행했거나 추진중이다. 과제 가운데 드론 생태계 활성화를 위한 국제표준대응 및 서비스 기술개발 지원, 배송임무 성공률 98% 이상의 도서산간 드론 물류 풀랫폼 구축 및 상용화 실증, 산업용 무인비행장치 전문인력 양성 사업 등은 지난해로 사업이 종료됐으며 5G기반 드론 활용 스마트 영농 실증 및 확산사업은 2020년에 시작하여 올해 중료된다. 이 사업의 핵심 내용은 드론 상업화 실증 지원센터, 성능평가 장비, 테스트 베드 등의 구축이다. 이들 사업 모두가 농업용 드론의 기술적 자생력 배양과 무관치 않다.

궁하면 통한다고 했다. 동원가능한 수단은 모두 활용하여 중국의 독주를 차단하는데 총력을 경주해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한국농기계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