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우리 농업·농촌은 정말로 심각한 위기에 처해 있다. FTA 등 농산물 시장의 개방과 농업 인구와 재배면적 감소, 고령화·부녀화에 따른 노동력 부족, 기후변화 등으로 심각한 어려움을 겪고 있다. 농가인구는 1995년에 485만 명에서 2022년 216만 명으로 55.3% 감소하고 65세 이상 고령인구 비율은 2010년 31.8%에서 2022년에 49.8%로 꾸준히 증가했다. 그럼에도 농업생산을 유지할 수 있었던 것은 농기계가 노동력의 부족을 해결하고, 인력이나 축력을 대체함으로 가능한 것이었다. 이에 따라 농기계에 대한 중요도와 의존도가 더욱 높아지고 있다. 

최근에는 ICT, IOT, AI, 자동화, 로봇 등의 첨단 기술이 적용된 스마트 농업으로 발전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자율주행 트랙터, 농업용 드론, 고효율 다목적 농작업기계, 스마트농업 관련 기자재 등 분야의 급성장을 가져왔다.

농기계의 역할이 더욱 중요해지면서 농기계 활용능력과 정비기술을 보유한 농업인은 이제 필수적이다. 농기계 전문인력과 현장 정비인력이 어느 때보다 필요한 시점이지만 농기계 수리 전문 인력난은 심각하다. 농기계 정비 기능인력 대부분을 공급하던 농과계 고등학교의 재학생수의 급감도 한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다. 농업계 고등학교는 10곳 안팎으로 급격히 줄고 농기계과가 다른 과로 전환된 까닭이다. 이와 함께 자율주행 농기계, 스마트농기계의 확대로 이 분야의 연구 및 기술개발을 담당하는 인력양성 또한 중요하다. 이는 어느 한 분야에 전문가 육성으로 끝날 문제가 아니라 농기계 사용 현장, 산업현장 등 농업인, 연구개발, 농기계 제작·수리·정비 등 농기계 관련 인력 등 다방면에 걸친 인력양성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정부, 지자체, 대학, 기업체 등의 역할 분담과 협력이 이루어져야 한다. 각각의 책임과 역할을 충실히 수행할 때 농업현장, 농기계산업·R&D 수행 맞춤형 인재를 양성할 수 있다.

농림축산식품부에서는 농기계화사업을 효율적으로 추진하기 위하여 5년마다 농기계화 기본계획을 수립 추진하고 있다. 9차 농기계화 기본계획(2022~2026)은 농업인 대상으로 스마트 농기계 교육을 강화하고 산·학을 활용한 농기계 전문인력 및 현장 정비인력 양성할 계획이다. 대학 학부에는 전통 농기계 기반으로 ICT·IoT·AI 등의 융복합 과정을 도입하고, 현장실무형 전문인력 양성을 위한 학부 교육과정을 개발할 계획이다. 현장실무형 인력양성을 위해 기존 현장실습, 인턴쉽 등의 실무 연계 과정 외에 산업체 교육센터와 연계하는 교육과정도 추진할 계획이다. 정비인력 양성에는 민간 전문가를 활용할 계획이며, 민간 운영 농기계 기술교육센터를 활용하여 자사대리점 직원뿐만 아니라 농업인과 농업고등학교 학생 대상 정비·수리교육, 농기계 공급자(제조업체·수입업자)와 지자체간 상호 정비교육 프로그램 마련, 공급자가 지자체 기술센터 등을 방문 정비교육 추진할 계획이다. 또한, 권역별(중부·호남·영남) 농기계 정비인력을 양성할 수 있는 전문정비교육센터를 지정(도농업기술원, 한국농수산대학교 등)하여 현장 인력 양성할 계획으로 있다.

농촌진흥청에서 중앙은 농기계의 최신기술을 활용하고 문제점을 해결하는 능력을 갖춘 교육 전문가의 양성을 목표로 하고 있고, 지방은 기계화 영농 종사자 또는 희망자를 대상으로 농기계 전문기술을 습득시켜 지역의 기계화 영농을 선도할 핵심 전문 기술 지도자를 양성을 목표로 하고 있다. 도 기술원 및 시군농업기술센터 농기계 담당공무원을 중심으로 일반농기계를 활용할 수 있는 농기계 안전강사 양성 등 현장 전문인력 양성, 밭농기계화율 제고를 목표와 함께 진행될 밭농기계 현장교육을 실시고 있다. 농기계 정비 및 교육인력 양성은 중앙(진흥청), 도단위 농업기술원(9개), 시·군단위 농업기술센터(156개), 전국 12개 대학에서 추진하고 있다. 

LS엠트론과 대동은 고용노동부와 한국산업인력공단에서 주관하고 시행하는 국가인적자원개발컨소시엄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LS엠트론은 2023년 전주비전대와 농기계 전문인력 양성 분야의 상생과 발전을 위한 산학협력을 체결했다. 농기계 교육과정을 이수한 졸업생의 취업 연계, 교육 운영을 위한 강사 및 실습 기자재 지원, 농기계 직무향상을 위한 재직자 교육, 지속적인 사업 운영 및 성과 창출 등을 위해 상호 협력하기로 했다고 한다.

농협과 한국폴리텍대학 전북캠퍼스, 김제시는 농기계정비 전문인력을 양성할 수 있는 교육인프라를 구축하고 농기계정비 분야 인력난 해소를 위한 협력을 이어가기로 했으며, 전국 지역농협의 농기계 정비분야 인력 약 1,000명을 대상으로 전문성 강화 교육을 실시하고, 또한 농기계 수리 관련 신규학과를 개설하여 졸업생을 배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한농대에서는 현재 트랙터, 콤바인, 이앙기, 방제기, 관리기 등 일반적인 농기계 위주의 운전조작 및 포장작업 등 이론과 실습강의 중심의 교육을 진행하며, 졸업후 영농현장에서 신속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안전사용 방법, 고장진단 및 기초 정비실습 등 자가 정비가 가능하도록 맞춤형 실무실습 중심으로 강의를 진행하고 있다. 또한 농기계 운전기능사·정비기능사, 드론, 농용건설기계 등 자격증 취득이 가능하도록 강의 교과와 연계한 실습 및 방학 때에는 별도의 자격증 취득 교육을 지원하고 있다. 최근 초경량비행장치(무인멀티콥터)인 농업용 드론이 방제, 파종, 예찰 등 농업부문에서 활용이 확대되고 자율주행농기계, 농업용 로봇도 농업현장에서 점차적 확대될 것으로 전망됨에 따라 첨단 농기계 실습교육도 진행하고 있다. 올해 자율주행트랙터를 도입 중이며, 교육에 활용할 계획이다.

농촌진흥기관, 농협, 그리고 지자체 등이 농업인을 교육․훈련하고 있지만 농업인들의 전문성을 제고시키기에는 미흡하다고 전문가들은 지적하고 있다. 대학에서는 로봇, 센서, 무인자동화, 정밀농업, 스마트팜, ICT 융합기술 등이 접목된 스마트농기계에 주안을 두면서 순수 농기계 연구를 연구하고 전공하는 학생 비율이 줄고 있는 것도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인재가 곧 미래다. 정부 재정 지원이 교육 활동 및 성과에 미치는 영향은 지대하다. 현장인력에 대해서는 대상에 따른 맞춤형 교육이 필요하고 교육생 수준에 따라 분야별, 수준별, 단계별로 맞춤형 교육이 효과적일 것이다. 농기계 활용 기술은 체계화된 기초이론, 기종별 참여식 현장실습과 체험형 교육을 통해 더 높은 효과를 거둘 수 있다. 농업인 대상으로는 농기계 취급조작, 농작업 등 농기계 기술교육, 농기계 안전교육, 농기계 각 부의 전기전자 및 유압 시스템 점검 정비, 농기계 수리 실습 교육이 필요하고 최근 농업현장에서 활용이 증대되고 있는 건설기계, 드론에 대한 교육도 강화할 필요가 있다. 

농기계 기술 인력양성에 있어서는 농업 현장, 교육, 연구개발, 제조, 보급, 사후관리를 포함한 농기계산업 전방위 인력양성이 필요하다. 농업인, 정비원, 제조 관련 종사원, 고등학교, 대학교, 대학원 인력양성이 모두 포함된다. 이를 위해서는 정부차원의 지원책이 반드시 뒤따라야 한다. 또한, 정부의 각종 사업에 인력양성 및 취업이 연계되어야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을 것이다. 인력양성은 배출 인원수나 취업률 등 정량적인 성과뿐만 아니라 참여 인력의 역량향상도 중점을 두어야 한다. 그 어떤 경우에도 사람을 키우지 않으면 허사이다. 사람을 키우지 않는다면 우리나라 농업도 지속할 수 없기 때문이다.

저작권자 © 한국농기계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