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기계시장이 장기침체에서 헤어나지 못하고 계속 곤두박질을 하고 있어 농기계 메이커들이 발을 동동 구르고 있지만 대안을 찾지 못해 몸살을 앓고 있다. 

지난 2021년 농기계 보유대수를 보면 2000년에 누렸던 대호황을 다시는 꿈꾸지 못하게 됐다. 대종 기종 가운데 경운기·이앙기 등은 2000년을 정점으론 내리막 길에 들어서면서 완전히 반토막이 났고 콤바인은 1만 대 이상이 줄어 들었다. 이 가운데 유일하게 트랙터만 상승곡선을 그리며 꾸준히 보유대수가 늘어 30만 대 수준을 유지하고 있는 가운데 전년대비 약 3,500대가 늘었다. 전체 보유대수에서도 2000년 339만 대를 정점으로 193만 대 보유에 그치고 있다. 이 통계에서 농기계 사용연한에 따른 교체주기의 흔적은 엿볼 수 없었다. 

이같은 추이를 고려할 때 농기계시장의 위축이 단순히 코로나19 파장에 따른 경기침체 등의 영향으로 빚어진 농가의 구매심리 둔화 때문만은 아닌듯 싶다. 원천적으로 농기계 보급이 포화상태에 이르렀고 농가경제 사정의 악화에서 비롯되는 대체수요의 감소가 악재로 작용하고 있기 때문으로 풀이될 수 있다. 농림통계에 따른 각종 지표를 보면 농가경제 사정이 얼마나 악화되고 있는지 짐작할 수 있다. 2021년 통계를 기준으로 10년전과 비교해 보면 더욱 분명해 진다. 농작물 수입은 2600만 원으로 22.3%가 증가한 반면 농업경영비는 2423만원으로 36.9%가 상승함으로써 수입·경영비간 역조현상을 나타내고 있다. 게다가 하루 농촌임료금도 성인 남자의 경우 12만7000원으로 56.8%가 상승했으며 여자 역시 9만4000원으로 무려 77.4%나 올랐다. 농가부채 또한 이 틀에서 벗어나지 못했다. 3659만원으로 40.5%라는 높은 증가율을 기록했기 때문이다. 농가경제 동향을 엿볼 수 있는 대목이다. 

농촌노동력의 고령화 또한 이와 무관치 않다. 연령별 농가호수에서 70세 이상 농가가 44만1000호인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농가 103만1600호의 절반 가까운 수준에 이르고 있다. 이 연령층이라면 대부분 농업경영주로부터 은퇴 채비를 하고 있을 것이다. 농기계 구매욕구의 촉발을 기재하기 어렵다는 건 물보가지다. 간혹 고성능으로 진화하는 농기계의 실용화를 고대하고 있는 고객이 있을 수는 있다. 

한편 자율주행 농기계 등 기술개발의 타깃이 첨단화에 집중되고 있는 시점에서 농기계시장에 활력을 불어넣기 위해서는 농업기계화 시책의 변화가 선행되지 않으면 안된다. 성능이 고도화하면 할수록 농기계가격도 따라서 상승할 수밖에 없다. 농기계의 융자율을 현행보다 월등히 높게 상향조정하고 아울러 이자율을 대폭 인하하는 혁신적 작업이 절대 필요하다. 

아울러 지방자치단체의 농기계 보존사업에 대해서도 전적으로 자율에 맡겨서는 본연 사업취지를 유지, 발전시키기 어렵다. 일정부분의 중앙정부 개입이 필요하다. 이 사업에 정부 보조가 수반되는 만큼 적절한 관리·감독이 요구되고 있기 때문이다. 코로나19 창궐이후 보조사업 관련 예산을 타용도로 전용하거나 합리적 타당성이 보장되지 않는데도 임의로 예산을 삭감하는 사례가 비일비재하며 명분이 불분명한데도 아예 예산자체를 편성하지 않는 행태까지 발생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뿐만이 아니다. 지방자치단체장 선거 때는 터무니 없이 방대한 예산을 편성하여 보조사업을 활성화하겠다고 공약을 한 뒤 실행 하지 않는 예까지 발생하고 있다고 한다. 

이같은 행태를 방치할 경우 국가가 지향하는 밝은 ‘농업의 미래’는 기대할 수 없을 것이다.

저작권자 © 한국농기계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