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업용 전기운반차 품질 향상 위해 국내 자체 생산
값싼 외산제품 의존…친환경 농기계 정부 지원 필요

(사)한국스마트이모빌리티협회(협회장 주영진)가 지난 2017년 7월 산업통상자원부의 인가를 받아 설립된 비영리 사단법인으로 4개의 위원회(기획, 기술정책, 법사, 국제협력)와 6개의 분과(초소형전기차, 전기이륜차, 농업용 및 특수목적용 전동차량, 교통약자용 전동차량, 퍼스널모빌리티, 부품 및 서비스)로 구성돼 있으며 올해 기준 총 96개의 회원사(기업 84개, 기관 12개)가 함께하고 있다.

아울러 협회 홍보 및 인지도 향상을 위해 스마트 e-모빌리티 산업에 대한 홍보 및 대외활동을 추진하고, 중앙부처 및 지자체 등의 대관업무, B2B/B2G 수요처 발굴, 국내외 전시행사 및 산업 교류, 관련 인프라 구축(공용 A/S, 사후관리 체계 구축, 통합 서비스 플랫폼 구축 등), 보급 확대를 위한 마케팅/홍보 지원 등의 활동을 추진 중이다. 특히 국내 유일의 e-모빌리티만의 전시회인 ‘전남 영광 e-모빌리티 엑스포’를 매년 개최해오고 있으며, 해외 사업화 진출의 발판 마련을 위해 정부와 국내외 관련 기관 및 협회 및 단체들과의 교류·협력을 통해 국산화된 핵심부품과 사용인프라, 서비스 플랫폼, 체계적인 A/S 등을 패키지화해 현지 시장 진출 방안을 추진 중이다.

본지는 송지용 협회 사무국장을 만나 협회의 대한 간략한 소개와 친환경 농기계 관련 정책적 부분 등에 대해 이야기를 나눠봤다.

송지용 한국스마트이모빌리티협회 사무국장
송지용 한국스마트이모빌리티협회 사무국장

회원사들의 친환경 농기계에 대한 간략한 소개를 부탁한다.

저희 협회 회원들의 친환경 농기계는 농어촌 지역의 어르신들이 조작 및 이용이 용이한 친환경 전동운반차를 생산하고 있습니다. 농업용 전기운반차의 내구성 및 안정성 등 품질 향상을 위해 국내에서 자체적으로 생산하고 있으며, 실용성과 경제성을 갖춘 친환경 농업용 전기운반차다.

친환경 농업용 전기운반차는 출력 3kW, 등판각 25% 이상, 1충전 주행거리 60km 이상으로 간편한 조작과 견고한 적재함으로 최대 300kg까지 적재가 가능하하고, 덮프기능을 포함하고 있어 농어촌 지역에서 매우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다. 그리고 월 2,000km 주행시 전기요금이 1만원 이내로 경제적인 특징을 지닌다.

국내 친환경 농기계 시장의 활성화를 위해 현재 무엇이 가장 필요하다고 생각하는가.
세계 농기계 시장은 2020년 약 1,484억 달러에서 2030년 2,431억 달러로 약 50% 증가할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특히 세계 각국 및 정부에서는 친환경 모빌리티에 대한 적극적인 지원과 산업활성화에 노력하고 있다. 이로인해 정부 및 지자체에서는 내연기관 차량을 전기차량으로 전환하기 위해 정부 R&D 및 보급사업(전기차, 전기건설기계)은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하지만, 농업용 농기계에 대한 지원은 미미한 실정이다. 국내 첫 e-모빌리티 규제자유 특구인 전남지역에서는 친환경 농기계 시범사업을 2020년부터 연간 1,000대를 지원하고 있으며, 시범사업 공고 3달만에 사업이 마감될 정도로 구매력이 높은 제품이다. 농촌지역 비(非)도로 수송부문의 탄소중립 및 미세먼지 저감을 위해 친환경 농기계에 대한 보급사업이 추진이 절실하다.

친환경 농기계의 경우 소비자들에게 '고가'라는 인식이 지배적이다.

전동화와 이를 기반으로 한 자율주행 차량은 2015년 파리기후협약 체결로 이산화탄소 감축이지구적인 과제로 주목받고 있다. 무엇보다 국내 친환경 전기차에 대한 기술개발 및 보급사업의 확대로 급진적인 발전으로 선진국과 어깨를 나란히 하고 있지만, 농업분야에서의 노력이나 성과는 우리의 기대수준에는 못 미치는 실정이다.

우리나라는 세계 최고수준의 농촌노령화로 다루기 쉽고 조작이 간편한 농기계의 보급이 절실하지만 규모가 큰 동력 엔진에만 의존하고 있다. 특히, 전동화 기술의 핵심 부품 중 하나인 배터리가 차량가격의 40% 이상을 차지하고 있어, 내연기관 농기계보다 상대적으로 구매비용이 높아 구매자로부터 외면을 받고 있다. 이러한 사정으로 인해 생산 업체에서는 높은 기술개발 비용과 자제비 상승 등으로 제작 단가는 지속적으로 상승하여 산업 영위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일부 업체에서는 자체생산 보다는 값싼 외산제품을 대규모로 수입 유통을 고민하고 있다.

농업분야에서 활용되는 농기계 수입은 국내 제작 업체의 기술력 및 생산력을 저하시킬 것이며, 친환경 농기계는 외산제품에 의존하게 될 것이다. 지금부터라도 국내 기술 발전과 미래 산업을 지키기 위해서는 친환경 농기계에 대한 정부차원에서의 지원이 필요하다.

앞으로의 계획은.

친환경 농기계 산업의 발전 및 활성화는 농업분야 탄소중립의 정부 발전방향과 발맞춰 함께 나아가고자 한다. 친환경 농기계의 보급 촉진은 산업계에서 당면한 과제로 정부부처를 비롯한 지자체 및 산업계와의 함께 협력하여 해결이 필요하다. 국내 친환경 농기계의 경쟁력 확보를 위해서는 첫째, 내연기관과의 가격경쟁력을 갖기 위한 신규 보급사업 도입 둘째, 이용자들이 쉽게 정비할 수 있는 공동 A/S망 구축 셋째, 친환경 농기계의 해외 진출 지원을 목표로 하고 있다. 협회는 보급사업 도입을 위해 전라남도와 함께 환경부 및 농림부에 보급사업을 건의하였으며, 해외 시장 진출을 위해 베트남, 인도네시아, 태국 등의 박람회 참가 및 EV관련 협단체와의 MOU를 체결하는 등 친환경 농기계 시장개척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저작권자 © 한국농기계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