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이 워낙 빨리 바뀌다보니, 길지 않은 문구로 시대를 정의하는 것이 유행이다. 2000년대 초반, 녹색성장이 유행일 때는‘Green makes green.’이라는 문장이 유행했다. 앞에 있는 green은 녹색관련 산업이고, 뒤에 오는 green은 녹색 잉크로 인쇄된 달러를 뜻한다. 그래서 자본주의사회에서 녹색관련 산업을 해야 돈을 번다는 뜻으로 통용되었다. 최근에는, 데이터를 새로운 원유에 비유하며 ‘Data is the new oil’이라고 말하기도 한다. 원유를 정제하여 휘발유를 만들 듯이, 정제되지 않은 데이터가 큰 가치를 지니고 있기에 데이터를 새로운 원유에 빗댄 것은 적절한 비유라고 본다.

정부가 지향하는 농업정책의 방향은 명확하다. 농촌 인구감소와 고령농 증가 등에 대비해 지속가능한 농업 구현과, 이상기후와 탄소중립에 대응해서 환경과 조화로운 농업을 실천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지방소멸을 막는 활기찬 농촌을 구현하고, 궁극적으로 국민 건강증진과 농업인 소득을 올리는 행복한 국민을 만드는 것이다. 그것이 바로 국정목표인‘튼튼한 농업, 활기찬 농촌, 잘사는 농민’을 구현하는 길이다.

지속가능한 농업은 범위가 무척 넓다. 온실가스 감축에 기여하는 농사, 지역발전을 견인할 신성장동력으로서의 농업, 국민건강과 복지를 지원하는 농업을 동시에 추구해야만 지속가능한 농업을 이룰 수 있다. 따라서, 지속가능한 농업을 위해서는 미래농업을 이끌 청년 중심의 세대교체를 지원해야 하고, 취약한 국내 종자산업을 지원하는 디지털육종 기반을 조성해야 하며, 무엇보다, DNA(Data, Network, AI) 등 4차산업혁명 기술을 적극 활용한 스마트농업이 주축이 되어야 한다. 농민의 경험에 의존하는 농사가 아닌, 현재의 작물생육상태와 기상 데이터, 토양 데이터 등을 근거로 편하게 농사짓는 것이 스마트농업이다. 농사짓는 사람이 줄고, 고령화된 현 시대에는 스마트농업이 유일한 대안이다. 

이렇게 데이터가 필요한 시대에 맞게, 정부에서 법을 만들었다. 농업과학기술정보의 수집·관리 및 제공을 위한 기반을 조성하고, 이용 활성화를 위해 ‘농업과학기술정보의 제공 및 이용 활성화에 관한 법률(농업과학기술정보서비스법)’을 만들었다. 데이터에 기반한 농업기술의 보급과 농업인 등 정책고객을 대상으로 디지털화된 농업 기술지원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법적 근거가 마련된 것이다. 각 농업기술센터가 각각 생산‧보유한 토양, 쌀 품질, 미생물 분양, 농작물 병해충 진단, 농업인 교육훈련 서비스 등에 관한 데이터를 체계화하고, 이를 통합·관리하는 농촌진흥청 플랫폼(ASTIS)에서 자료 열람과 정보 찾기 등이 가능해질 전망이다. 

또한 현행 중앙 농촌진흥기관에서 지방 기관으로 이어지는 하향식 농업기술 보급체계를 개선해 농업인, 대학, 연구기관, 산업체 등의 참여를 확대하여 농업인과 농촌 현장의 문제점 해결을 위한 연구과제 및 시범사업 추진도 활발해질 전망이다. 

앞으로 농업의 미래를 이끌 키워드를 뽑으라면, 당연히 데이터이다. 그저 숫자에 불과한 데이터이지만, 데이터에 가치를 넣으면 정보가 되고, 정보를 잘 활용하면 자본을 끌어들이는 사업을 만들 수 있다. 이렇듯, 정제되지 않은 데이터가 큰 가치를 지니고 있기에 데이터를 새로운 원유라고 하는 것이다.

문을 두드려야만 밖에 사람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두드리지 않은 문은 결코 열리지 않는다. 그래서 데이터라는 문을 꾸준히 두드려야 한다.

저작권자 © 한국농기계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