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규인증 소요비용 연 100만~500만원… 업체 부담 커
중복·유사인증 통폐합… 동일제품 구간별 인증 전환도

사진은 기사와 무관함
사진은 기사와 무관함

판로 확보에 도움이 되는 인증제도 취득에 있어 농기계 중소기업들이 비용과 소요기간에 많은 부담을 느끼고 있다는 지적이다. 이에 업계는 정부서 비용 지원을 비롯해 △제도 간소화 △기준 재정비 등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중소기업중앙회서 각종 인증을 보유한 중소기업 약 300개를 대상으로 지난해 11월에 실시한 '중소제조업 인증제도 실태조사'에 따르면, 개선이 필요한 인증으로 '전기·생활안전 KC인증'이 'KS인증'과 함께 상위권을 나란히 했다.

이와 함께 가장 시급한 인증제도 개선사항으로는 △인증취득 비용 지원(50.3%) △서류의 간소화 및 표준화(35.7%) △인증기준(규격) 재정비(11.7%)로 나타났다. 

업계 관계자는 "농기계 업계서는 한때 KC인증의 의무를 간과한 채 판매를 아무 문제 없이 이어가는 중소업체들이 많았다"며 "최근에는 지자체 및 기관들의 KC인증에 대한 업계 규제 등이 강화됨에 따라 업체들이 의무적으로 KC인증을 받고있는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하지만 동종업계의 제품들이 생산업체 및 제품명의 차이만 있을뿐 제품 자체로서 다 같은 제품인 경우가 적지않지만, 오직 제품 판매를 위한 업체 고유의 인증번호를 받기 위해 인증을 받는 경우가 많다"며 "인증 비용·소요기간을 보다 경제적으로 바뀔 수 있도록 같은 제품 카테고리의 인증 절차를 보다 효율적으로 재정비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아울러 중소제조업 인증제도 실태조사에 따르면 업체가 신규인증을 취득하기 위해 소요되는 비용은 연간 100~500만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국내 농기계 업계 특성상 규모가 영세한 업체들이 대부분이기 때문에 인증 취득을 위한 비용으로 연간 최대 500만원이 지속적으로 지출되는 것에 대해 70~80% 이상의 업체들이 부담을 느끼고 있다는 것이 업계 관계자들의 지적이다.

이어 중기중앙회 관계자는 "중소 업체들이 인증을 취득하는 목적은 지자체 등과 같은 공공기관 납품 시 의무 또는 가점 획득, 기술력 홍보 등을 위한 것"이라며 "인증이 판로 확보에 도움되는 것은 분명하나, 취득 비용과 기간에 대한 부담을 느끼는 업체들이 많아지는 만큼 지원정책이 더욱 확대돼야 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품목에 대한 중복·유사인증을 과감하게 통폐합하고 동일제품에 대한 규격별 인증을 구간별 인증으로 바꾸는 등 업체들이 느끼는 부담을 대폭 완화할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해야한다"고 덧붙여 말했다.

이에 대해 상공회의소 KC인증 관련 담당자는 "인증 시 같은 유사 제품군들이 많은건 사실이지만, 그 안에 모터  및 배터리 규격 등 부품의 세부적인 부분에 차이가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안전을 위해서라면 오히려 더욱 체계적인 인증 절차가 요구된다"고 설명했다.

이어 "하지만 국내 농기계 관련 중소기업들에겐 잦은 인증으로 인한 비용 부담 및 소요기간에 대해서는 충분히 느낄 수 있는 현 체계이기에 이 부분에 대해 정부서 이와 관련한 지원 정책을 보완해준다면 업체들의 부담을 덜어주고 이것이 멀게는 활발한 기술(신제품) 개발로도 이어질 수 있을 것"이라고 전했다.

저작권자 © 한국농기계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