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소중립' 농기계, 전기 등 친환경 동력원으로 전환
개발 촉진 · 안정적 보급, 체계적 보조지원 시책 절실

정부의 탄소중립 정책으로 전기·수소 농기계 등과 같은 친환경 농기계에 대한 중요도가 높아진 만큼 보급·확산을 위한 보조금 정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올해 초 정부는 탄소중립을 선언하며 '농식품분야 2050 탄소중립 추진전략'을 내세우며 농기계 화석에너지 사용 축소를 위해 모든 내연기관 농기계를 전기농기계와 같은 친환경 동력원 등으로 전환하는 방안을 발표했다.  

또 최근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에서 윤석열 대통령은 '녹색 친화적이고 지속가능한 식량·에너지 시스템 구축'을 강조함에 따라 농업분야도 전기 농기계 보급 등 탄소중립 세계적 트랜드에 함께 하기 위한 움직임을 본격화 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이어 지난 11월 대구 엑스코에서 열린 '2022 대한민국 국제농기계자재박람회'에서 정황근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은 △사물인터넷(IoT) △인공지능(AI) 등의 기술을 활용한 농기계와 전기·수소 농기계 등에 오는 2027년까지 1,000억 원 이상을 투자할 것이라 밝힌 바 있다.

이처럼 국내 농업분야에서도 글로벌 트랜드에 맞춰 친환경 동력원 농기계의 보급·확산에 많은 관심이 쏠려있지만 보급·확산을 위한 보조금 지원 정책 등이 체계적으로 자리를 잡지 못한 상황이다. 이에 대해 업계관계자는 "현재 정부는 친환경 전기차 등에는 대당 수백만원에서 많게는 수천만원까지도 보조금을 지원하고 있다"며 "하지만 농업분야의 친환경 동력원 농기계에 대해서는 아무 혜택을 지원하지 않는 등 농업분야는 뒷방 늙은이 취급을 하고 있는 격이나 다름없다"고 지적했다. 

이어 그는 “우선 실제 전기 농기계 등을 보급·확산 시킬 수 있도록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하고 설정하는 등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컨트롤 타워가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또 "내연기관에 비해 친환경 동력원 농기계는 기술적인 영향으로 가격이 크게 올라 소비자들이 구매를 자연스럽게 꺼리게 되는 경향이 있다"며 "이러한 상황에서 보조금 정책이 뒷받침 되지 않는다면 생산과 수요가 위축될 뿐만 아니라 글로벌 친환경 동력원 농기계 기술력 부분에서도 뒤처지는 것은 시간문제이며, 그 피해는 고스란히 농민들에게 돌아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정희용 국민의힘 의원(경북 고령·성주·칠곡)에 따르면 올 상반기 전남도·경북도가 시·군·구 농민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전기농기계 수요조사 결과’에서 정부 지원이 있을 경우 전기농기계를 구입하려는 수요가 경북 1,700대, 전남 1,550대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 전동운반차나 고소작업차 등을 구입할 때 300~600만원을 보조하는 조건에 대한 응답으로, 전체 농가의 수요는 1만대 이상일 것으로 내다봤다.

정 의원은 “전기차는 보조금을 줘서 탄소중립에 기여하도록 하고 있는데 디젤 기반이 주류인 농기계는 전동화 제품 보급을 위한 정부 예산이 반영되지 않고 있다”며 “현장 수요가 충분한 것으로 조사된 만큼 보조금을 지원하면 탄소중립 뿐 아니라 매연 발생이 줄어 농민 건강에도 긍정적일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친환경 동력원 농기계와 관련된 보조금 정책 등이 아직은 시기상조라는 이야기도 적지 않다. 

정부 관계자는 "현재 전기 구동방식의 농기계라 하면 대표적으로 전동운반차, 전동사다리 등으로만 구성돼 농민들이 관련 보조금 정책의 부재로 피해를 볼 것이라는 의견은 와 닿지 않는 지적"이라고 설명했다. 전기·수소차의 경우 정부와 지자체를 통한 보조금 지원책이 될 수 있지만, 농기계의 경우 아직은 많이 부족하다는 평가다.

그럼에도 관련 전문가들은 농업계도 결국 탄소감축에 적극 참여해야 할 상황이 다가올 만큼 전동 농기계에 적용할 수 있는 기술 혁신과 더불어 현장보급 확산을 위한 정책 지원 및 안전기준 마련 등이 절실하다고 전했다.

저작권자 © 한국농기계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