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유해요인 연구실은 작목·작업별 농작업 건강유해요인 노출 및 위험성 평가, 농작업 안전보건 지침·기준 개발, 농촌 체험교육장 등에 대한 안전관리 지침 연구, 농작업 도구 등의 사용실태조사 등을 수행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재해의 작업 관련성 판정 및 안전기술 개발을 위한 기초기반 구축에 기여하고 있다.

농작업 환경 위험도 현장 평가법 개발 및 현장 적용 연구

농가가 자체적으로 농작업 유해요인의 노출 및 위험성 평가를 직접 수행할 수 있도록 기반을 조성하고 지원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에 노지, 과수, 시설과 같은 작목 유형에 따라 작업별로 발생되거나 또는 노출되는 유해요인의 유해성과 노출 가능성을 농업인 또는 현장 전문가가 쉽게 판정하는 방법과 기준을 제시하고, 이를 통해 위험도를 산정할 수 있도록 해주는 위험성 평가서를 개발하고 있다. 해당 위험성 평가서는 농업인과 현장 전문가가 안전보건사업을 수행할 때 작업장 안전수준 평가서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할 예정이다. 

농작업 유해요인 측정(농약노출)
농작업 유해요인 측정(농약노출)
농작업 유해요인 측정(미세먼지)
농작업 유해요인 측정(미세먼지)

농작업 현장 안전관리를 위한 안전보건 기준 항목 및 매뉴얼 개발

농업인 안전재해 예방 관련 법률 등의 제정에 맞추어 현장에서 필요한 안전 지침, 기준 등에 대한 수요가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독일, 아일랜드, 미국 등 선진국의 농업안전보건 안전관리 규정, 기준 등을 검토하고 국내 사업장에서 이미 활용 중인 안전관리 기준, 매뉴얼을 분석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농업 부문의 현장 안전관리 지침·기준의 개발 로드맵을 만들고 우선순위에 따라 작업 또는 위험요인별 안전관리 기준/지침 등을 개발하고 있다. 

또한, 시설, 과수, 노지 작목을 대상으로 농작업 방법에 따라 작업 수행 과정(전·중·후) 동안 안전을 위해서 반드시 수행해야 하는 필수사항을 정리한 ‘농작업 표준안전작업절차’를 개발해 22년 하반기에 기술보급서로 배부할 예정이다. 

농산물 가공사업장 및 농촌 체험교육장 작업안전관리 기술 연구

농가 농외소득 향상, 일자리 창출, 농업의 6차 산업화 도모 등을 위해 농산물 가공과 농촌 체험에 대한 수요는 점차 증가하는 추세이다. 이에 따라 농산물 가공사업장이나 농촌 체험교육장에서 발생하는 재해율도 함께 증가하고 있기 때문에 농업인의 안전의식 제고와 실천에 관한 가이드라인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농산물 가공사업장이나 농촌 체험교육장과 같은 농작업 관련 시설에서 발생 가능한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도록 작업 안전관리 기술을 연구 개발하고 있다.

농작업 도구·장비류의 사용실태 조사 및 안전사용 가이드라인 개발

농작업 시, 도구 및 장비의 잘못된 사용으로 인해 농업인은 근골격계질환과 같은 직업성 질환을 비롯해 베임 또는 질림과 같은 다양한 안전사고에도 노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농작업 도구 및 장비류에 대한 사용실태 조사를 토대로 농작업 편이장비 등에서 파생되는 위험요인이나 발생 가능한 안전사고를 확인해 더욱 안전한 사용성을 실현하기 위한 안전사용 가이드라인을 연구 개발하고 있다. 연구수행 중 개발된 회전식 손잡이를 부착한 수확상자를 들고 이동하는 작업에 대한 효과를 평가한 결과에서는 상자를 들기 위해 필요한 근육들의 활성도가 증가한 반면에 불필요한 근육들의 활성도는 감소하는 것으로 파악돼 개발된 수확상자 사용의 효과를 실험으로 검증한 바 있다.

회전식 손잡이 수확상자 사용 효과 평가(근골격계)
회전식 손잡이 수확상자 사용 효과 평가(근골격계)

건강유해요인의 노출·위험성 평가와 안전보건 지침의 개발은 안전보건관리의 가장 기본이 되는 연구 분야 중 하나이며, 활발한 연구, 개발활동을 통해 농업인 안전재해의 작업관련성 판정, 효율적 안전기술 개발 및 효과 평가, 현장 안전관리 수준 증진 등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저작권자 © 한국농기계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