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의 농기계임대사업소 운영인력의 역량강화 노력에도 불구하고 주어진 교육기회를 살리지 못함으로써 전문성이 수준이하 떨어지고 있어 우려되는 바 크다.

물론 농번기에는 일손이 부족해 교육참여도가 낮을 수 있다. 그러나 이들이 전문인력이란 점에서 교육에 소극적 태도로 일관할 경우 날로 진화하는 농업기계 기술을 습득하지 못하게 되어 심각한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가까이는 농업기계 구입이 어려운 농가의 농업기계 구입부담을 줄여주고 밭농업 기계화율을 높인다는 임대사업소 설치 취지를 잃게 되고 나아가 정부의 의욕적 사업추진 전략과 비전이 무용화까진 아니더라도 무력화함으로써 엄청난 국고의 손실만 초래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농기계 임대사업은 농업인들에게 가장 인기있는 사업중 하나다. 그렇다고 임대사업이 축소되거나 사멸되는 일은 없겠지만 운영인력의 기술력 확보가 전제되지 않은 한 효율성 극대화는 기대할 수 없다. 따라서 교육참여율 제고를 위한 보완책 강구가 요구되고 있는 것이다. 

정부는 임대사업소의 보유농기계 대수에 따라 정규직과 계약직등 ‘적정운영인력 확보기준’을 설정하고 있다. 100대 미만부터 500대 이상까지 임대농기계 보유대수 100대 단위로 나눠 인력을 배정하고 있는데 200대 이상 300대 미만의 경우가 정규직 3명에 계약직 5명 등 모두 8명을 확보토록 하고 있다. 임대농기계 보유대수는 당해지역 경지면적과 영농규모, 임대대상농가등을 고려했을 것으로 여겨지며 운영인력은 최소한 이 정도를 확보해야 보유농기계의 활용도를 극대화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했을 것이다.

문제는 정규직보다 많은 수의 계약직이 어느 정도 농기계에 대한 전문성을 보유하고 있느냐 하는 것이다. 발령시점에서 보면 거의 문외한일 가능성이 매우 높다. 기술력 배양을 위한 교육말고는 다른 해법이 없다. 그런데 현장의 바쁜 일정 때문에 교육기회를 놓친다(?) 어불성설이다. 교육에 교육을 더해 언제 어디서 어떤 농기계의 어느 부분이 고장 나더라도 즉각 대응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춰야 하는 것이다. 

운영인력에 대한 전문성 결여를 방치할 경우 파생되는 손실은 상상을 초월할 수 있다. 예컨대 콩의 파종·예취·탈곡작업에 투입되는 트랙터 파종기·콩콤바인은 대당 연 작업면적이 15ha이며 고구마·감자·무·배추·고추·마늘·양파·참깨 등 밭작물의 정식·수확·파종 등에 활용되는 파종기·정식기 등도 6~10ha에 이른다. 특정지역에서 이들 농기계 가운데 10대가 고장으로 작업을 하지 못한다고 가정하면 10배만큼 작업면적이 줄어들 수밖에 없는 것이다. 운영인력의 기술적 대응력이 강력히 요구되는 대목이라 하지 않을 수 없다. 

정부는 올해도 320억원(국비·지방비 각 50%)의 사업예산을 투입해 농기계임대사업소에 임대농기계 보관창고 건축과 임대농기계 구입을 지원한다. 아울러 주산지 일관기계화를 위해 경운·정지·수확까지 일관작업을 할 수 있는 임대농기계를 지원하는 동시 노후농기계 대체도 추진한다. 따라서 밭농사용 농기계와 부속작업기는 물론 밭농사용 부속작업기 이용을 위한 80마력이하 트랙터도 구입토록 하고 있다. 밭농업 기계화율이 낮은 파종·정식·수확용 농기계를 20%이상 구입토록 하고 있으며 여성농업인 등이 주로 사용하는 관리기·파종·정식기·동력운반차등 구입을 지원하고 있다. 

이같은 야심찬 정부시책 추진을 기술부족이라는 족쇄로 퇴색시켜선 안된다. 현장 전문인력 역량강화를 통해 농기계 임대사업을 주도할 수 있도록 교육에 적극 임해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한국농기계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