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연 양 연구원 "시장형성에 정책적 지원 필요"

미래 농기계는 자동차와 유사하게 카메라와 초음파, 라이다 등의 센서를 탑재하고 커넥티비티 기술을 활용해 인력의 개입을 최소화한 트랙터·이앙기·콤바인 등을 운영할 수 있게 됐고, 농기계 산업에서도 전동화·자율주행 전환 속도가 빨라지고 있다. 사진은 미국 농기계 업체 존디어가 공개한 130Kw급 전기트랙터 '세삼(Sesam)' [사진제공: 존디어]
미래 농기계는 자동차와 유사하게 카메라와 초음파, 라이다 등의 센서를 탑재하고 커넥티비티 기술을 활용해 인력의 개입을 최소화한 트랙터·이앙기·콤바인 등을 운영할 수 있게 됐고, 농기계 산업에서도 전동화·자율주행 전환 속도가 빨라지고 있다. 사진은 미국 농기계 업체 존디어가 공개한 130Kw급 전기트랙터 '세삼(Sesam)' [사진제공: 존디어]

탄소배출 저감을 위해 농기계에도 자율주행·전동화 등 미래자동차 기술이 반영되는 추세인 만큼 정책 지원을 통해 시장 형성과 경쟁력 확보에 나서야 한다는 지적이다. 

양재완 한국자동차연구원 연구전략본부 선임연구원은 지난 25일 발간한 '농기계 산업으로 확대되는 미래차 기술'이라는 내용의 보고서를 통해 이같이 주장했다. 미래차 기술의 농기계 적용이 농업 생산성 개선 및 탄소배출 저감의 대안으로 부상하는 추세다. 

농기계에 자율주행·전동화 기술을 적용하면 노동 집약적인 농업의 생산성을 높이고 농산물 생산 시 배출되는 탄소를 저감해 친환경 농업으로 전환할 수 있다. 글로벌 농기계 시장은 지난해 994억 달러(약 130조2000억원) 규모로 트랙터와 수확기가 중심이 되고 있다. 

연평균 4% 성장해 오는 2027년에는 1260억 달러(약 166조원)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국내 농기계 시장은 지난해 기준 약 2조3000억원 규모로 추산된다.

작업환경 인식 및 경로 생성·추종이 핵심요소인 농기계 자율주행은 총 레벨4단계 중 레벨2 ~2.5 수준의 상용화가 진행 중이다. 내년이면 최대 2.5단계의 국내 자체생산 자율주행 농기계가 상용화 될 계획이다.

농기계 전동화는 높은 전력 소비 대응 및 외부 충격·합선에 대비한 안전성 확보가 중요한 요소로 꼽힌다. 국내기업들은 공동 연구 및 협업을 통해 소형 모빌리티용 전동화 기술을 확보한 뒤 농기계에 확대 적용하겠다는 전략이다.

아울러 보고서는 농업에 특화된 자율주행·전동화 기술을 확보하고 관련 시장을 형성할 수 있도록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양 선임연구원은 "농기계 산업에서 자율주행·전동화 기술 글로벌 경쟁력 확보를 위해서는 농업 환경에 특화된 기술을 개발하고 타 분야 기술과의 시너지 창출을 위한 협업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미래 농기계 보급 확대를 위해서는 초기 시장 형성을 위한 보조금 지원 및 기존 노후 농기계 교체에 대한 인센티브 제공 방안 등을 고민해야 한다"고 전했다.

저작권자 © 한국농기계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