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업 전 분야로 스마트농업 저변 확대, 스마트팜 수출 활성화 촉진
관계부처 ‘빅데이터·인공지능 기반 스마트농업 확산 종합대책' 내놔

스마트농업은 ICT 기술의 발전과 함께 융합형 혁신성장 산업으로 빠르게 성장 중이며,   고령화·기후변화에 대응해 인공지능, 무인자동화 등으로 생산성·편의성 향상이 가능한 스마트농업의 필요성이 지속 증가하고 있다. 

이에 정부는 ‘스마트팜’을 8대 혁신과제로 선정 후 ‘스마트팜 혁신밸리’ 조성, 스마트농업 보급 확산 등을 적극적으로 추진해왔다. 스마트팜 보급은 2017년 시설원예 4,010ha, 축사 801호에서 2021년(누적) 6,485ha, 4,743호로 각각 61%, 492%씩 상승했으며, 도입 효과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스마트팜 도입 후(시설원예 분야) 고품질생산량은 35.9%, 농업소득은 36.9%, 생산량은 33.3% 증가하고, 자가노동시간은 9.8%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는 스마트농업을 인공지능 등으로 고도화하면서, 농가 보급을 촉진하고 관련 제품의 수출 확대 등 성과를 창출해 나갈 계획이다. 이를 위해 ①농업 빅데이터·인공지능 인프라 구축, ②스마트농업 거점 육성, ③기술·인력 및 장비 지원 강화, ④한국형 스마트팜 수출 활성화를 핵심으로 하는 관계부처(농식품부, 고용노동부, 과기정통부, 중기부, 농진청) 합동 ‘빅데이터·인공지능 기반 스마트농업 확산 종합대책’을 지난 23일 발표했다.

스마트농업 확산하고 포괄적 인력양성과 전후방산업 연계 강화 

이번 대책은 2018년 발표한 ‘스마트팜 확산방안’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가, 정책대상을 온실·축산 중심에서 노지 등 농업 전 분야로 확장하고, ICT 장비(HW) 뿐만 아니라 빅데이터·인공지능(SW) 측면을 강화했다. 생산뿐만 아니라 제조·가공·유통·기자재 등 전후방산업을 포괄하고, 청년농과 함께 연구·산업인력, 기존농업인 등 포괄적 인력양성을 추진한다. 

농업 빅데이터·인공지능 인프라 구축

표준화된 양질의 스마트팜 데이터셋을 수집하고 클라우드 기반 빅데이터 플랫폼을 구축해 데이터 연계·공유·활용 기반을 마련한다. 

농업 환경·생육 정보의 디지털 전환을 위해 데이터 수집 항목, 단위, 방법 등을 표준화하고, 또한 기자재 표준을 확대해 장비 간 호환성을 제고함으로써 농가의 시설·장비 유지비 부담을 덜고 편의성을 향상시킬 계획이다.

데이터의 개방·공유를 지원하기 위해 스마트팜 빅데이터 플랫폼(스마트팜코리아)을 민간 개방형 클라우드로 전환해 확장하고, 데이터 활용을 촉진하기 위해 데이터를 활용하는 농업법인, 기업 등에게 농업 분야 데이터 구매·가공 바우처(심사 후 최대 7,000만원 지원)를 지원한다.

스마트농업 거점 육성

스마트팜 혁신밸리(4개소)를 2022년 상반기까지 완공·운영하고, 지역  여건 등을 감안한 지역특화 임대팜 등을 확대해 스마트팜 입주를 지원하며, 노지 스마트농업 시범사업을 본격 추진한다.

청년창업보육센터, 임대팜, 기업 실증단지 등 스마트팜 혁신밸리의 핵심시설에서 연간 약 250명, 40개사를 수용해 보육 등을 지원한다. 

또 스마트팜 혁신밸리를 중심으로 스마트팜 집적화의 거점을 육성해 스마트팜 핵심지구로 발전시킨다. 경북 상주는 로봇, 병해충, 수출플랜트, 전북 김제는 스마트ICT 기자재, 신품종, 기능성 물질, 경남 밀양은 나노, 에너지절감, 소프트웨어, 전남 고흥은 밀폐형 온실, 드론, 아열대작물로 특화한다. 

아울러 ‘스마트농업 육성지구’로 지정해, RE100(사용하는 에너지의 100%를 재생에너지로 대체하는 것) 지원, 특례 부여 등을 통해 관련 산업의 핵심지역으로 발전시킨다. 

지역별 특성을 살린 지역특화 임대팜 등을 추가 조성(2023년 6개소)하고, 청년농 등을 대상으로 비축농지를 우선 임대해 창업 초기 부담을 완화할 계획이다.

노지 분야에는 농업 디지털화 시범단지를 조성해, 첨단농기계 통합관제 및 인공지능 무인·자동 농업생산 모델을 구축한다. 주산지에 ICT 관수·관비, 첨단농기계(드론, 무인트랙터 등)를 적용해 경험 위주의 재배방식을 스마트농업으로 전환하는 선도모델을 정립한다.

기술, 인력 및 장비 등 지원 강화

노지 스마트농업까지 R&D를 확대하고, 인력양성을 강화하며, 인공지능 기반 서비스의 보급을 추진한다.

선도국(EU)과의 기술격차를 축소하기 위해 온실·축산·노지 등 전 분야로 R&D를 확대하고 인공지능 제어, 농작업 로봇 등 핵심기술 개발에 투자를 확대할 계획이다. 스마트농업 인력수요에 대응해 스마트농업 특수대학원, 재직자 맞춤형 인력양성과정 등을 운영하고 연구 및 산업인력을 양성한다.

ICT 시설·장비 보급을 확대하고, 인공지능 서비스의 활용을 지원해 스마트농업 확산을 촉진한다. 스마트팜·식품기업 간 공급망 관리 등 농업 생산·소비 데이터를 연계할 수 있는 기반을 확대한다. 

한국형 스마트팜 수출 활성화

해외 스마트팜 시범온실 운영 및 기자재, 기술 등을 포함한 패키지 수출을 적극 지원하며, 신남방, 중동 등으로 모델을 전파한다.

관계기관 합동으로 ‘스마트팜 수출지원팀(농림수산식품교육문화정보원,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KOTRA), 농업기술실용화재단)’ 구성해 온실시공, ICT 기자재, 복합환경제어기술 등의 수출을 지원할 계획이다. 

유망국에 시범온실을 구축(총 3개소)해 국산 스마트팜 우수성을 홍보하고 수출 거점으로 활용하며, 현지 농업인·대학생 등에게 작물재배, 스마트팜 운영법 등 교육을 연계할 예정이다. 

ODA(정부개발원조)를 통해 신북방(우즈벡 등), 신남방(베트남, 인니 등 동남아)에 한국형 스마트팜 모델을 전파하고, UAE와 협력해 중동 기후에 최적화된 물절약형 스마트온실을 구축하고 실증·보급할 계획이다.

스마트농업 육성계획 수립해 핵심과제 추진 지원 

법적 기반을 마련하고, 거버넌스를 구성하는 등 스마트농업 확산 정책의 효과적인 추진을 위한 체계를 정비한다. 

‘(가칭)스마트농업육성법’을 제정해 스마트농업 확산의 제도적 기반을 마련할 계획이다. 또한 중앙 및 지방 단위의 5개년 스마트농업 육성계획을 수립해 관련 정책을 체계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또 정부·지자체·학계·농업인·산업계 등을 포괄하는 거버넌스를 구성해 스마트농업 육성계획 수립 등 주요 정책 사항을 논의할 계획이다. 아울러 스마트농업 총괄지원 기능을 수행하는 전담기관을 지정해 빅데이터 플랫폼 운영, 혁신밸리 지원, 수출 활성화 등 핵심과제 추진을 지원한다. 

정부 관계자는 “스마트팜 혁신밸리 등 주요 거점을 중심으로 스마트농업의 확산이 가속화될 것으로 기대한다”며 “빅데이터 인프라, 농가 보급, 기술개발 및 인력양성을 통해 한국 스마트농업의 경쟁력을 높이고, 혁신성장 산업으로 육성할 것”이라 강조했다. 

저작권자 © 한국농기계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