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령화 · 코로나 사태로 농기계 의존도 해마다 높아져
첨단장비 다룰 전문인력 배출 줄어… 식량안보 위협

농촌인구의 가파른 고령화 추세 속에 2년여 지속되는 코로나사태 장기화로 외국인 근로자 일손마저 뚝 끊긴 농가로서는 농기계 의존도가 갈수록 높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아무리 튼튼하고 잘 만들어진 농기계도 반복되는 농작업에는 고장 발생이 필연적이다. 농가는 고장 난 농기계를 얼마나 제때, 또 얼마나 제대로 고쳐 쓸 수 있는지가 이제 안정적인 영농활동의 필수 조건이 될 정도다. 

하지만 농촌에서 농기계를 정비·수리하는 전문 인력이 해마다 줄어들고 있어 우려의 목소리가 크다. 나아가 트랙터·관리기·방제기 등 정작 농기계는 있어도 이를 제때 운전·조작할 일손이 없어 농사를 포기하는 일마저 우려된다는 지적이다.

농촌에서 농기계 이용이 가파르게 늘면서 농기계 수리·정비 수요가 폭증하고 있다. 일선 농기계대리점은 수년째 수리인력 구인난에 빠져 있는데, 그나마 근무여건이 낫다고 하는 지역농협의 농기계사업소마저 이제는 수리인력을 제대로 갖춘 곳이 드물 정도로 농기계 수리 전문 인력난이 심각한 상황을 맞고 있다.   

문제는 단기간에 수리 인력난을 해결할 뾰족한 방안이 없다는 점이다. 그간 근근이 농기계수리 인력을 배출해 온 농업계 고등학교는 급격히 줄어 현재는 전국에 10곳 안팎이다. 이 중에 농기계정비 교과과정을 이수하는 농업고등학교는 손에 꼽을 정도로 극소수다. 농기계 정비 분야는 농번기에 하루 10~15시간씩 일해야 해 인기도 없다. 더욱이 지금의 고교과정만으로는 첨단 유압, 전자장비 사용이 많아진 최신의 트랙터, 콤바인 등은 제대로 다루지도 못한다.

한국농기계유통협동조합 관계자는 “농기계대리점의 수리 인력난은 비단 어제 오늘의 일이 아니다”며 “더욱 심각한 문제는 제조사, 정부, 학계, 심지어 판매업자들도 수리인력 확충방안에 대해 고민하지 않고 있다는 점”이라고 토로한다. 그는 “대리점이 수리인력에 대한 처우와 근무여건을 개선하는 것만으로는 인력을 구할 수 있는 상황자체가 안된다”며 “정부가 식량안보, 농업경쟁력향상 차원에서 농기계 수리인력 양성을 위한 육성과정을 제도화 하고, 교육·훈련 장비 등을 최대한 지원해 문제해결에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고 말한다. 

학계 관계자는 “농기계 제조사는 수리 업무를 판매업자에 일임하려 들지 말고, 수리·정비 전문 인력 양성은 물론 나아가 농기계 운전·조작 전문가를 육성하는 데도 각별한 관심을 쏟아야 할 시점”이라고 강조한다.

저작권자 © 한국농기계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