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직은 생소한 농기계 온라인 쇼핑몰을 통한 농기계 거래가 급증하고 있는 가운데 적잖은 부작용을 유발하고 있어 대응이 시급하다. 

코로나19 확산으로 사회적 거리두기가 강력히 시행되면서 경제·사회·문화 전 분야에 걸쳐 급격한 변화와 더불어 언택트문화가 확산되고 있다. 대표적으로 온라인 구매가 급격히 늘어나고 있고 원격교육과 재택근무가 보편화 추세에 있으며 원격의료가 새로이 등장하는가 하면 화상면접을 통한 기업의 신규채용등 다양한 분야에서 이 비접촉·비대면 방식이 채택되고 있음을 예로 들 수 있다. 

농기계의 인터넷 쇼핑몰을 통한 거래 역시 이 조류의 한 줄기로서 거스를 수 없는 것이 현실이다. 인터넷의 가상공간에 상품을 진열하고 판매하는 상가로서의 인터넷 쇼핑몰은 기업과 소비자 사이에 이루어지는 전자상거래의 가장 대표적인 형태라 할 수 있다. 쇼핑몰은 인터넷 사용자를 고객으로 거래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로서 소비자는 직접 상점을 방문하지 않고도 필요한 상품을 골라 싼값에 살 수 있고, 운영자는 매장설비 비용이 적게 들고 시간·공간적 제약이 없을 뿐 아니라 건물 임대료등 운영비도 크게 줄어들어 상품가격을 낮춰 팔 수 있는 장점을 지니고 있다. 

문제는 반품이나 애프터서비스가 제대로 처리되지 못할 수 있다는 점이다. 인터넷 쇼핑몰을 통한 농기계 거래가 바로 이 덫에 걸려 있는 셈이다. 쇼핑몰에서 농기계를 구입한 농가가 사후봉사를 적기에 받지 못하는 사례가 잦아지면서 농가피해가 갈수록 증폭하고 있다고 한다. 더욱 가증스런 일은 쇼핑몰에서 제대로 검증되지 않은 농기계를 공공연히 취급하고 있다는 것이다. 농기계 온라인 쇼핑몰의 급증과 판매량 증가에 편승하여 농기계 생산과 사후관리 능력이 전혀 없는 공급자가 싸구려 부품으로 조립한, 검증되지 않은 농기계를 시장에 쏟아 붓고 있다고 한다. 쇼핑몰은 따라서 이들 미검증 농기계를 농가와의 직거래와 저렴한 가격을 내세워 현금판매에 올인하고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당장 제도상 허점이 있는 인터넷 쇼핑몰의 농기계거래를 제어할 방법은 없다. 우선은 농기계 수요자인 농업인들이 저가에 현혹되어 사후관리에 대한 보장이 없는 농기계를 구입하여 손해를 자초하는 일이 없도록 계도하는 일이 무엇보다 시급해 보인다. 농업인들의 쇼핑몰 이용이 늘면 늘수록 농기계유통시장의 왜곡도 커질 수밖에 없다. 농업기계 유통의 핵심 주체인 농기계사후관리업소, 즉 대리점의 존립에 위협이 가해질 수 있기 때문이다. 농기계시장의 장기침체로 이미 기력이 적잖게 쇠퇴해 있는 상황에서 설상가상으로 인터넷 쇼핑몰에 시장을 크게 잠식당할 경우 버텨내기가 더욱 어려워질 것은 불을 보듯 뻔하다. 세계 최대 쇼핑몰인 ‘아마존’이 세계 최초로 인터넷 서점을 개설한 2년 만에 미국의 수많은 서점이 도산했다고 한다. 이런 전철을 밟지 말란 법이 없다. 나아가 농업기계사업 전반에 파장을 몰고 올 가능성도 없지 않다. 

그렇다고 인터넷 쇼핑몰의 거래활동과 생성을 근본적으로 차단할 비책을 당장 찾아내기도 쉽지 않다. 거역할 수 없다면 순응해야 한다. 포스트 코로나 차원에서 시대적 대변화에 대응할 수 있도록 새로이 판을 짜야 한다. 인터넷 쇼핑몰의 거래는 세계적 추세다. 따라서 이를 기피대상으로 여길 것이 아니라 제도적 보완책을 지혜롭게 강구하여 건전한 시책으로서 제도권내로 진입시키고 농기계유통의 혁신을 꾀하는 동시 농업인에 대한 철저한 보호망을 구축해야 할 것이다. 산·학·관·연이 힘을 모을 때다. 
    

저작권자 © 한국농기계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