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경환 전남대 융합바이오시스템기계공학과 교수 / 농업생산무인자동화연구센터 센터장
이경환 전남대 융합바이오시스템기계공학과 교수 / 농업생산무인자동화연구센터 센터장

첨단 기술의 발전과 함께 농업 기술도 빠르게 발전해 왔다. 인간의 노동에 의존한 인력농업에서 농기계의 도입을 통한 기계화농업, 센서와 제어기술을 활용한 자동화농업으로 발전해 왔으나, 아직까지도 농업의 주체는 인간이었다. 하지만 미래 농업은 데이터에 기반하여 인공지능과 로봇이 주도한 디지털농업 형태로 발전하게 될 것이며, 인간은 관리자의 역할을 하게 될 것이다. 한마디로 농업의 주체와 형태가 바뀌는 대변혁의 시대를 맞이하고 있다. 우리는 이러한 농업의 디지털혁명을 이끌 혁신 인재를 잘 양성해 왔는가? 이제는 시간이 없다. 융복합 혁신 인재 양성을 더 이상 미루지 말자

디지털농업은 센서를 통해 토양, 기상·환경, 작물 등의 데이터를 확보하고, 이를 빅데이터, 인공지능을 활용해 농자재 투입 최적 의사결정을 내린 다음, 지능형 농기계·로봇을 활용해 정밀 농작업을 수행하는 생산과정을 거치게 된다. 이에 더불어 생산과정에서 확보된 데이터는 유통, 소비과정으로 전달되고, 소비자의 기호는 생산에 다시 피드백되어 생산·유통·소비의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 이러한 디지털농업 구현을 위해서는 토양, 작물 등의 농업지식, 데이터, 네트워크, 인공지능, 로봇 등의 공학지식, e-비지니스, 마켓팅 등의 경영지식이 융복합적으로 요구된다. 하지만 현재의 대학 교육시스템과 교육과정으로는 이러한 융복합 교육을 수행할 수 없고, 더군다나 세계를 리드할 수 있는 디지털농업의 혁신 인재 양성은 그림의 떡이다.  

이에 법학 전문대학원과 같은 디지털농업 전문대학원 설립을 제안해 본다. 학부에서 인문학, 경영학, 농학, 자연과학, 공학 등 다양한 전공을 가진 학생들이 대학원에 진학하여 디지털농업의 다학제적 융복합 지식을 공부하고 혁신 인재로 거듭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여기에는 국내대학 뿐만 아니라 해외 유명대학, 국내외 농업정책 연구기관, 국내외 첨단기술 국책연구기관, 글로벌 리딩 산업체가 참여하여 디지털농업의 세계 최고 교육프로그램을 제공한다. 대학원 입학은 내국인뿐만 외국인에게도 허용하며, 특히 개발도상국의 관료들을 정부 장학생 형태로 추천받아 위탁 교육하고자 한다.

그동안 우리나라 농업은 선진국을 열심히 모방하고 추격하면서 기술개발을 진행해 왔다. 하지만 미래 디지털농업 시대에는 우리만의 독창적인 아이디어와 혁신적인 프로그램으로 글로벌 선도국가로서 발돋움해야 한다. 그러기위해서는 글로벌 혁신 인재 양성이 우선되어야 한다. 정부도 이에 대한 중요성을 인지하고 디지털농업 전문대학원 설립을 조속히 추진해 주었으면 한다.

저작권자 © 한국농기계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