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의 세계적 확산에 따라 글로벌 경제위기에 대한 장기전이 불가피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는 가운데 정부가 잇따른 긴급처방을 내놓고 있다. 그러나 농기계산업의 부실화를 방어할 어떤 해법도 눈에 띄지 않고 있다. 따라서 농기계업계는 최소한 정책자금 금리만이라도 인하해줄 것을 강력히 촉구하고 나섰다.

농기계는 특성상 농가와의 대면접촉을 통해 제품홍보나 판촉활동이 가능하다. 그러나 코로나19로 대면기피현상이 심화되면서 농가출입이 철저히 차단됨으로써 영농기를 앞둔 판촉 성수기는 사라지고 말았다. 따라서 대리점들은 농기계 판매는 고사하고 밀린 판매대금의 회수는 더욱 어려워지고 올 시즌 판매를 위해 확보해 둔 농기계의 어음조차 막을 길이 막막하다. 이로 인한 연쇄파장은 농기계제조기업으로 전이될 수밖에 없다. 제조업체의 운영자금난은 불문가지다. 그렇다고 수출에 의존할 수 있는 환경도 아니다. 세계 어느 곳에도 교역이 가능한 국가는 없기 때문이다. 농기계업체의 줄도산을 우려하지 않을 수 없다.

이런 상황으로 미루어 농기계산업에도 극약처방을 반드시 해야 한다. 단순히 정책자금 금리인하뿐 아니라 운영자금 대출, 대출금의 상환연기, 보증등 제반금융지원을 통해 적어도 줄도산은 막아야 한다. 농기계산업 붕괴는 이같은 위기상황을 극복하지 못할 경우 일순간이다. 그러나 붕괴이후 이를 복원하는 데는 위기극복 소요예산의 수백, 수천 배의 투자가 요구될 수 있다. 농기계분야의 정책자금이라야 농기계 생산업체를 대상으로 한 원자재 구입비축자금, 생산시설·설비지원 대출 2,000억원과 사후봉사업소에 주는 400억원 규모의 농기계 수리용부품 확보자금 정도다. 그 금리가 2~3%이다. 농기계산업이 이를 인하해 달라는 것이다. 이마저 외면한다면 정부가 100조원에 달하는 금융지원을 하겠다고 하지만 위기극복의지를 의심하지 않을 수 없는 일이다.

정부는 코로나19 확산으로 어려움에 처한 중소기업·소상공인등을 위해 50조원이상의 범국가적 민생·금융안정 프로그램을 가동한다고 밝힌 바 있다. 이를 통해 1.5%수준의 초저금리대출을 제공하는 한편 대출만기 연장과 이자상환유예를 전격시행하기로 했다. 내달 1일부터 은행대출의 95%에서 100%를 보증하고 보증료율을 1%이하로 인하하는 한편 직간접 피해를 입은 중소기업 대출은 최소 6개월이상 만기를 연장하고 상환기한이 도래하는 이자에 대해서도 6개월간 이자상환을 유예하기로 한 것이다.

특히 정부는 글로벌 공급망 쇼크와 인적·물적 이동제한 등으로 어려움을 겪는 수출입·해외진출 관련기업들에 수출입은행을 통해 20조원 규모의 긴급 금융지원을 하겠다고 밝히기도 했다. 11조3,000억원을 만기연장에, 6조2,000억원을 신규대출지원에, 2조5,000억원을 보증지원에 투입하겠다는 것이다. 대출만기연장은 중소·대기업을 불문하고 6개월내 만기가 돌아오는 대출에 대해 1년을 연장해주고 신규자금 2조원도 지원하기로 했다. 중소기업에 대해서는 기존 적용금리에서 1.5%포인트 차감하는 등 금리우대를 하고 이자납부도 6개월 유예해 준다.

이같이 방대한 자금이 지원되는데도 불구하고 상대적으로 소액에 지나지 않는 농기계부문 정책자금 금리인하를 외면한다는 것은 어불성설이다. 농식품부는 보다 적극적으로 주무부처를 설득하여 반드시 이를 관철시켜 작으나마 업계의 숨통이 트이도록 해야 할 것이다.코로나19의 세계적 확산에 따라 글로벌 경제위기에 대한 장기전이 불가피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는 가운데 정부가 잇따른 긴급처방을 내놓고 있다. 그러나 농기계산업의 부실화를 방어할 어떤 해법도 눈에 띄지 않고 있다. 따라서 농기계업계는 최소한 정책자금 금리만이라도 인하해줄 것을 강력히 촉구하고 나섰다.

농기계는 특성상 농가와의 대면접촉을 통해 제품홍보나 판촉활동이 가능하다. 그러나 코로나19로 대면기피현상이 심화되면서 농가출입이 철저히 차단됨으로써 영농기를 앞둔 판촉 성수기는 사라지고 말았다. 따라서 대리점들은 농기계 판매는 고사하고 밀린 판매대금의 회수는 더욱 어려워지고 올 시즌 판매를 위해 확보해 둔 농기계의 어음조차 막을 길이 막막하다. 이로 인한 연쇄파장은 농기계제조기업으로 전이될 수밖에 없다. 제조업체의 운영자금난은 불문가지다. 그렇다고 수출에 의존할 수 있는 환경도 아니다. 세계 어느 곳에도 교역이 가능한 국가는 없기 때문이다. 농기계업체의 줄도산을 우려하지 않을 수 없다.

이런 상황으로 미루어 농기계산업에도 극약처방을 반드시 해야 한다. 단순히 정책자금 금리인하뿐 아니라 운영자금 대출, 대출금의 상환연기, 보증등 제반금융지원을 통해 적어도 줄도산은 막아야 한다. 농기계산업 붕괴는 이같은 위기상황을 극복하지 못할 경우 일순간이다. 그러나 붕괴이후 이를 복원하는 데는 위기극복 소요예산의 수백, 수천 배의 투자가 요구될 수 있다. 농기계분야의 정책자금이라야 농기계 생산업체를 대상으로 한 원자재 구입비축자금, 생산시설·설비지원 대출 2,000억원과 사후봉사업소에 주는 400억원 규모의 농기계 수리용부품 확보자금 정도다. 그 금리가 2~3%이다. 농기계산업이 이를 인하해 달라는 것이다. 이마저 외면한다면 정부가 100조원에 달하는 금융지원을 하겠다고 하지만 위기극복의지를 의심하지 않을 수 없는 일이다.

정부는 코로나19 확산으로 어려움에 처한 중소기업·소상공인등을 위해 50조원이상의 범국가적 민생·금융안정 프로그램을 가동한다고 밝힌 바 있다. 이를 통해 1.5%수준의 초저금리대출을 제공하는 한편 대출만기 연장과 이자상환유예를 전격시행하기로 했다. 내달 1일부터 은행대출의 95%에서 100%를 보증하고 보증료율을 1%이하로 인하하는 한편 직간접 피해를 입은 중소기업 대출은 최소 6개월이상 만기를 연장하고 상환기한이 도래하는 이자에 대해서도 6개월간 이자상환을 유예하기로 한 것이다.

특히 정부는 글로벌 공급망 쇼크와 인적·물적 이동제한 등으로 어려움을 겪는 수출입·해외진출 관련기업들에 수출입은행을 통해 20조원 규모의 긴급 금융지원을 하겠다고 밝히기도 했다. 11조3,000억원을 만기연장에, 6조2,000억원을 신규대출지원에, 2조5,000억원을 보증지원에 투입하겠다는 것이다. 대출만기연장은 중소·대기업을 불문하고 6개월내 만기가 돌아오는 대출에 대해 1년을 연장해주고 신규자금 2조원도 지원하기로 했다. 중소기업에 대해서는 기존 적용금리에서 1.5%포인트 차감하는 등 금리우대를 하고 이자납부도 6개월 유예해 준다.

이같이 방대한 자금이 지원되는데도 불구하고 상대적으로 소액에 지나지 않는 농기계부문 정책자금 금리인하를 외면한다는 것은 어불성설이다. 농식품부는 보다 적극적으로 주무부처를 설득하여 반드시 이를 관철시켜 작으나마 업계의 숨통이 트이도록 해야 할 것이다.코로나19의 세계적 확산에 따라 글로벌 경제위기에 대한 장기전이 불가피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는 가운데 정부가 잇따른 긴급처방을 내놓고 있다. 그러나 농기계산업의 부실화를 방어할 어떤 해법도 눈에 띄지 않고 있다. 따라서 농기계업계는 최소한 정책자금 금리만이라도 인하해줄 것을 강력히 촉구하고 나섰다.

농기계는 특성상 농가와의 대면접촉을 통해 제품홍보나 판촉활동이 가능하다. 그러나 코로나19로 대면기피현상이 심화되면서 농가출입이 철저히 차단됨으로써 영농기를 앞둔 판촉 성수기는 사라지고 말았다. 따라서 대리점들은 농기계 판매는 고사하고 밀린 판매대금의 회수는 더욱 어려워지고 올 시즌 판매를 위해 확보해 둔 농기계의 어음조차 막을 길이 막막하다. 이로 인한 연쇄파장은 농기계제조기업으로 전이될 수밖에 없다. 제조업체의 운영자금난은 불문가지다. 그렇다고 수출에 의존할 수 있는 환경도 아니다. 세계 어느 곳에도 교역이 가능한 국가는 없기 때문이다. 농기계업체의 줄도산을 우려하지 않을 수 없다.

이런 상황으로 미루어 농기계산업에도 극약처방을 반드시 해야 한다. 단순히 정책자금 금리인하뿐 아니라 운영자금 대출, 대출금의 상환연기, 보증등 제반금융지원을 통해 적어도 줄도산은 막아야 한다. 농기계산업 붕괴는 이같은 위기상황을 극복하지 못할 경우 일순간이다. 그러나 붕괴이후 이를 복원하는 데는 위기극복 소요예산의 수백, 수천 배의 투자가 요구될 수 있다. 농기계분야의 정책자금이라야 농기계 생산업체를 대상으로 한 원자재 구입비축자금, 생산시설·설비지원 대출 2,000억원과 사후봉사업소에 주는 400억원 규모의 농기계 수리용부품 확보자금 정도다. 그 금리가 2~3%이다. 농기계산업이 이를 인하해 달라는 것이다. 이마저 외면한다면 정부가 100조원에 달하는 금융지원을 하겠다고 하지만 위기극복의지를 의심하지 않을 수 없는 일이다.

정부는 코로나19 확산으로 어려움에 처한 중소기업·소상공인등을 위해 50조원이상의 범국가적 민생·금융안정 프로그램을 가동한다고 밝힌 바 있다. 이를 통해 1.5%수준의 초저금리대출을 제공하는 한편 대출만기 연장과 이자상환유예를 전격시행하기로 했다. 내달 1일부터 은행대출의 95%에서 100%를 보증하고 보증료율을 1%이하로 인하하는 한편 직간접 피해를 입은 중소기업 대출은 최소 6개월이상 만기를 연장하고 상환기한이 도래하는 이자에 대해서도 6개월간 이자상환을 유예하기로 한 것이다.

특히 정부는 글로벌 공급망 쇼크와 인적·물적 이동제한 등으로 어려움을 겪는 수출입·해외진출 관련기업들에 수출입은행을 통해 20조원 규모의 긴급 금융지원을 하겠다고 밝히기도 했다. 11조3,000억원을 만기연장에, 6조2,000억원을 신규대출지원에, 2조5,000억원을 보증지원에 투입하겠다는 것이다. 대출만기연장은 중소·대기업을 불문하고 6개월내 만기가 돌아오는 대출에 대해 1년을 연장해주고 신규자금 2조원도 지원하기로 했다. 중소기업에 대해서는 기존 적용금리에서 1.5%포인트 차감하는 등 금리우대를 하고 이자납부도 6개월 유예해 준다.

이같이 방대한 자금이 지원되는데도 불구하고 상대적으로 소액에 지나지 않는 농기계부문 정책자금 금리인하를 외면한다는 것은 어불성설이다. 농식품부는 보다 적극적으로 주무부처를 설득하여 반드시 이를 관철시켜 작으나마 업계의 숨통이 트이도록 해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한국농기계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