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접 영업선서 발로뛰어
농민들과 소통 '원활하게'

최영백 대표
최영백 대표

“기계만 파는 것이 중요한 것이 아니라, 그 이후의 관리가 더욱 중요하죠”

최영백 금강농기계 대표의 이야기다. 그는 “최선을 다해 기계의 완성도를 높이는 것은 당연한 것이지만, 기계는 언제든 멈출 수 있다는 것을 간과해서는 안된다”며 사후 관리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전북 익산시 금강동에 소재하고 있는 금강농기계는 지역의 이름과 같기 때문인지 그 지역을 대표하는 농기계 업체처럼 다른 업체들에 비해 더욱 눈에 잘 띄었다. 
최 대표는 “30년 이상 영업만 해왔다”며 “영업만 해서는 비전이 없다고 생각을 꾸준히 해왔다”는 과거회상들과 함께 어렵사리 이야기를 시작했다.
그는 과거 모 원자제 업체에서 “영업만 하지말고 직접 생산하는 업체를 만들어보는 것이 어떻겠냐?”라는 이야기를 듣고 지난 2009년 4월 쯤 지역이름과 함께한 ‘금강농기계’라는 상호를 걸고 사업자등록을 냈다. 

“왜 금강농기계냐”는 질문에 그는 정말 “금강동에서 시작을 해서 그냥 그렇게 지은게 전부”라며 웃으며 말했다. 

지금의 금강농기계를 있게 해준 제품이자, 금강농기계의 대표 상품이라 할 수 있는 ‘곡물적재함’은 최 대표에겐 많은 애착이 가는 제품이다. 

 

공장전경
공장전경

그는 “‘곡물적재함’으로 금강농기계를 시작할 수 있었다”며 “처음 사업을 시작했을 당시엔 정말 많이 팔려서 쉴 새가 없었다”고 말했다.

하지만 현재 곡물적재함 시장 역시 여느 농기계 시장처럼 녹록치 않았다. 

최 대표는“곡물적재함 시장은 현재 포화상태라고 할 수 있다”며 “소모품이 아니기 때문에, 한번 구입해서 사용하면 부품만 교체하고 계속 사용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물론 곡물적재함이 아닌 저희 업체 제품 라인업은 여러 가지가 있지만, 최근 농기계 시장을 바라봤을 때, 살아남고 싶으면 틈새시장을 노려 제품개발이 이뤄져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영세업체들은 언제나 개발의 두려움이 끊이지 않는다.
영세업체들은 언제나 개발의 두려움이 끊이지 않는다.

그는 또한 “영세업체다 보니 원자재를 구입해서 쓰기 때문에 자금이 부족하면 틈새 아이템을 머릿속으로 구상을 해도 개발을 쉽게 진행할 수 없는 여건”이라며 “얼마 전까지만 하더라도 안그랬던, 원자재 거래처의 선입금 필수사항으로 인해 상황은 더욱 힘들어졌다”고 전했다. 

이어 “개발을 어렵게 진행해놓으면, 타 업체에서 언제든 모방이 쉽게 열려있어, 이런 점들 때문에 영세업체들은 개발의 두려움이 끊이지 않는다”고 안타까워 했다. 

금강농기계를 애용하는 농민들의 이야기를 들어보면 금강농기계의 제품은 언제나 튼튼하며, A/S가 별로 없다는 것이 장점이 될 수 있다고 이야기 했다. 

 

최영백 대표는 “개발 후 테스트를 통한 출고의 여부를 계속 확인해 농민들이 최상의 농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최영백 대표는 “개발 후 테스트를 통한 출고의 여부를 계속 확인해 농민들이 최상의 농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는 최 대표의 제품개발 철학에서 비롯됐다고 할 수 있다. 그는 “제품개발에 있어 내구성은 당연히 최고로 만들어야 한다고 생각한다”며 “개발후에도 시운전(테스트)을 많이 해보고 출고의 여부를 끝까지 확인해야 농민들이 최상의 농작업을 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끝으로 “곡물적재함 뿐만 아니라 농민들이 필요로 하는 농기계를 현장서 발굴해서 소품종 다량생산으로 나아갈 계획”이라며 “예나 지금이나, 영업은 내가 직접 뛰는 것이 익숙하기 때문에 현장의 소리에 귀 기울기고, 현장 농민들과의 소통을 지금보다 더욱 원활하게 하겠다”고 전했다.

업체 입구에 곡물적재함이 출고를 앞두고 있다.
업체 입구에 곡물적재함이 출고를 앞두고 있다.

 

저작권자 © 한국농기계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