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진 농업으로 변할 기회의 땅 북한 · · · 선제적 대응을

한반도의 평화의 바람이 점차 가시화되면서 농기계 지원은 어떻게 진행되고 준비해야 할 것은 무엇인지 업계의 궁금증이 증폭되고 있다.  

“한반도 평화 정착을 위해서라면 제가 할 수 있는 모든 일을 다 하겠습니다” 지난 취임식에서 문재인 대통령은 이같이 약속한 이후 이를 실현하기 위한 노력을 펼쳐왔다.

이어 지난 11일 통일부는 2019년 제4차 지자체 남북교류협력 정책협의회 정례회의에서 현재 남북교류가 소강 국면인 상황에서 차분하고 내실있는 교류재개를 준비하고 재개 시에는 적극적인 교류를 추진한다는 골자로 협의가 진행됐다. 정부도 협의회를 통해 지자체 남북교류협력 활성화를 위한 유·무형 지원 대책을 강화한다는 계획이다.

지원 정책이 가시화되는 가운데 농업 분야는 어떻게 준비해야할까. 지난해 한국농업기계학회와 한국정밀농업학회 등 농기계 관련 학회에서는 북한 농업의 현황과 접근방향 등을 다각도로 제시했다.

북한은 2016년 제7차 당 대회에서 식량자급자족 실현과 선진농업 수준 달성 방안을 제시했다. 2020년까지 경제개발 5개년 전략을 수행할 것과 이를 위해 농업기계화 비중을 60%에서 70%까지 높인다는 전략이다.

북한은 최근 농장 간 네트워크를 강화하는 등 스마트농업을 도입하고 원예, 축산 등 다양한 신기술 개발에 집중하고 있다. 특히 최근 개인소유 텃밭이 늘어남에 따라 과거의 공동생산 체계를 벗어나 농기계를 직접 소유하려는 경향이 강하다. 

이용범 원광대학교 교수는 대북사업농업협력 시범단지를 강조했다. 이 교수는 "먼저 전문가 교류를 통해 채소, 과수, 감자, 버섯 품종의 육성과 재종분야, 생산기술 분야의 연구가 필요하다"며 이와 함께 채소·과수 품종과 온실재배, 버섯 생산기술 분야의 전문 인력 양성을 진행해야한다"고 말했다.

최세열 평양과기대 교수는 "북한의 농업은 비중이 가장 큰 산업으로 생산액은 실질 GDP의 22.3%에 달해 제조업보다 높고, 농업 종사자는 전체 주민의 12%에 해당한다”며 “하지만 화학비료 부족과 원재료와 비료 생산공장을 돌리기 위한 전력이 부족하다”고 덧붙였다.

최 교수는 “농업인구 비율이 높고 협동농장으로 작업해 생산성을 유발할 기회를 제공하면 급격한 생산성 향상으로 이어질 것”이라며 “또 농업인구의 교육수준이 높고 인트라넷을 통해 농업 정보 확산이 빨라 정밀 농업과 첨단기계 농업을 접목할 수 있다면 선진 농업으로 변환될 기회의 땅”이라고 가능성을 전망했다.

강영식 우리민족서로돕기운동 사무총장은 "그간 사업을 통해 몇 가지 교훈을 얻었다"며 "지원 사업 자체를 기획하고 실행하는 것만큼이나 지원환경에 대한 고려가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또 그는 "북한 농축산 인력에 대한 역량 강화사업 등 보다 지속가능한 지원방식을 모색해야한다"고 덧붙였다.

남상일 한국농업기계학회 정책소위원장은 "지원 사업에 앞서 북한 농업인의 소득 향상을 위해 농업기계화와 관련된 이해관계자의 비즈니스 모델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며 "지방 중소도시 인근에 사업장 위치를 선정하고 경제·사회적 발전 단계에 맞는 비즈니스모델 조사연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한국농기계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