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목 특성 맞는 적응정책 필요

 교토체제가 마무리돼 가는 시점에 새로운 기후체제를 맞이하게 됐다.
각 나라별로 목표를 정해 지구온난화에 대응하겠다는 범지구적인 노력에 동참하기 위해 지난 2015년 우리나라도 오는 2030년 온실가스 배출 전망치대비 37% 감축안을 목표로 세웠다. 제조업 비중이 높고 화석연료 의존도가 높은 우리나라 상황에서 목표 달성은 쉽지 않다.

지난달 19일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이하 KREI) 이상민 연구위원 등은 ‘신기후체제에 따른 농축산식품부문 영향과 대응전략(1/2)’연구를 통해 “농축산식품부문 비에너지 분야 감축노력이 절실한 실정이며, 적응을 위해서는 작목별 특성을 충분히 고려한 정책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지난 2005년부터 2013년까지 농업 관련부문의 온실가스 연평균 배출량은 약 3천만 톤 CO₂정도 되는 것으로 추정됐다. 이 가운데 축산활동을 통해 배출되는 메탄과 농경지토양을 통해 배출되는 아산화질소 등을 모두 고려했을 때 가축분뇨에 의한 온실가스 배출량이 연간 약 860만 톤 CO₂ 정도로 농축산식품 부문에서 가장 많은 양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외에 벼 재배에 의한 배출량 약 760만 톤 CO₂ 등 농축산부문 비에너지 분야 온실가스 배출량이 전체의 약 70%를 차지하는 것으로 추정됐다.

이상민 KREI 연구위원은 “식량 공급이라는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는 농축산식품 분야의 경우 기후 변화가 심화되는 경우 직면하게 될 위험과 식량 공급시스템의 취약성을 고려하면 적극적인 참여와 노력이 요구된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한국농기계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