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저히 농가입장서 성능 · 활용 방안 마련해야

정부가 올해를 ‘밭작물 기계화 원년’으로 선포하고 2022년까지 4,000억원의 예산을 지원하는 특단의 ‘밭작물 기계화 촉진대책(안)’을 최근 확정했다. 정부는 이번 대책이 실효를 거두려면, 즉 밭작물 기계화를 성공하려면 ‘국내업체의 농기계 개발 의욕 고취와 고품질의 농기계 생산·보급체계 마련이 절실하다’는 진단에서 출발하고 있다.


농업 생산성 및 경쟁력 향상은 곧 대표적 후방산업인 농기계산업의 견실한 뒷받침이 수반되어야 가능하다는 인식이다. 한때 농기계를 ‘농가부채의 원흉’으로 싸잡아 매도했던 사회분위기와는 사뭇 격세지감마저 들 정도다.


무엇보다 이번 대책은 ‘농기계 보급’에 방점을 찍고 있다. 성능개선 또는 신규개발을 통해 신기술농업기계로 지정받은 농기계는 정부가 일정규모의 수요를 확보해 주겠다는 것이다. 빼어난 기술의 농기계를 개발하고도 작은 시장에 발목 잡혔던 개발자들에겐 희소식이 아닐 수 없다. 혹자는 “수요만 확실하다면 밤을 새워서라도 기계는 원하는 만큼 만들 수 있다”고 자신한다.


기업은 일정규모의 판로확보가 담보돼야 체계적인 생산시스템을 갖춰 비용절감을 도모할 수 있다. 생산비가 떨어지면 더욱 낮은 가격으로 공급할 수 있어 구매자도 이득이다. 또 적절한 이윤은 더 나은 품질을 위한 연구개발의 재원이 된다. 한 해 10여 대 남짓 팔고나면 수요가 바닥나는 시장에서는 꿈꿀 수 없는 일이다. 이번 밭작물 기계화 촉진대책이 십 수 년 넘게 한 우물을 파온 농기계 ‘장인(匠人)’들에게 날개를 달아주길 기대한다. ‘물 들어올때 노 저어라’는 속담처럼 정부기조에 부응하는 기업을 필두로 세계 시장을 호령하는 농기계 ‘스타기업’이 이번 기회에 탄생하기를 기대한다.


다만 이번 정책이 성공하려면 현장의 목소리에 더욱 귀 기우려야 할 것이다. 기계를 직접 이용할 농가의 입장에서 철저한 성능 및 활용 방안이 마련돼야 한다. 이미 우리는 ‘여성친화형농기계’ 사업에서 수요자를 배제한, 즉 공급자 중심의 정책이 어떠한 폐단을 가져오는지 똑똑히 경험했기 때문이다.


저작권자 © 한국농기계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