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밭작물 기계화는 우리 손으로”

‘주산지 일관기계화’ 역점 추진

2020-02-20     김영태 기자

밭작물 기계화만큼은 반드시 우리 농기계, 우리 손으로 이뤄내야 하지 않겠습니까?

최승묵 농림축산식품부 농기자재정책팀 서기관

최승묵 농림축산식품부 농기자재정책팀 서기관은 새해 농업기계화 정책방향이 밭작물 기계화 촉진에 있음을 다시 확인했다. 또 밭작물 기계화 촉진의 일환으로 추진하고 있는 ‘주산지 일관기계화 지원 사업’에 농업인과 업계가 더 많은 관심을 가져줄 것을 당부했다. 

농식품부가 올해 국비를 투입해 추진하는 사업은 △농기계임대사업 설치 및 임대농기계 구입지원 △주산지 일관기계화 지원 △여성친화형 농기계 지원 △노후농기계 대체 지원 △임대사업 평가 및 컨설팅 △국제박람회 개최 지원(격년) 등이다. 
이 가운데 핵심은 단연 ‘주산지 일관기계화 지원 사업’과 ‘임대사업소 설치 지원 사업’을 꼽을 수 있다. 주산지 일관기계화는 지난해 220개소를 대상으로 총 440억원(국비 50%, 지방비 50%)의 예산을 책정했지만 사업목표를 달성하지는 못했다. 

최 서기관은 “중앙정부의 정책사업 추진 방향에 대해 지자체 관계자들의 충분한 이해와 합의가 이뤄지지 못한 점이 아쉬웠다”며 “사업 활성화를 위해 지자체는 물론 영농법인 또는 농업인이 주산지 사업에 더욱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장기임대료를 구입가격의 20%로 낮췄고, 연간 의무 농작업 면적도 대폭 완화했다”고 강조한다. 

시군 농업기술센터의 농기계임대사업이 밭작물 작업기 중심의 단기임대가 주류를 이뤘다면, 주산지 일관기계화 사업은 마늘, 감자, 양파 등 주요 밭작물을 생산하는 공동이용조직에 장기임대 형태로 농기계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특히 기계화가 크게 뒤쳐진 파종·정식, 수확 분야의 기계화를 위한 노력이 한창인 것이다.    

급격한 농촌인구 감소, 노령·여성화에 따른 농촌 노동력 부족 문제는 해마다 심화되고 있다. 또 쌀 공급과잉 구조개선을 위해 정부는 꾸준히 논에 쌀 대신 밭작물을 재배하도록 유도하는 등 ‘논타작물 전환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이처럼 밭작물 생산을 위해서는 농기계는 꼭 필요하지만 반면 생산업체로서는 마땅히 시장이 형성되지 않아 개발 및 생산 의욕이 떨어질 수밖에 없는 구조적 문제부터 해결해야 했다.  

최 서기관은 “농가가 필요로 하고, 또 기계화를 통해 농업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 성능을 갖춘 농기계는 일정한 판로를 확보할 수 있는 게 중요하다”며 “특히 경운·정지, 방제 분야와는 달리 파종·정식 및 수확용 농기계는 기계화의 초기단계로 업체가 조금만 관심을 갖고 기술개발에 노력한다면 충분히 새로운 시장에서 주역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농업 정책과 농기계산업은 매우 밀접한 관계에 놓여있다. 지난 기계화의 역사가 이를 반증하고 있으며, 스마트팜 관련 정책이 봇물을 이루며 관련 기계·자재 산업이 활기를 띠고 있는 요즘이다. 

최 서기관은 “정부의 정책 목표와 추진방향에 대한 충분한 이해와 공감을 한다면 사업에서도 분명 좋은 아이디어를 얻을 수 있을 것”이라며 “더 많은 우리 농기계가 밭농업 현장에서 쓰일 수 있도록 정부가 더욱 많은 관심과 지원을 다 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