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식품가공기계산업 사후봉사 미흡, 컨트롤타워 구성하고 인력육성방안 마련해야

세척, 저장과 같은 수확 후 전처리 기술과 박피, 절단, 분쇄 등의 농식품 가공기술, 선별과 포장 등 유통기술은 기계가 없이 발전할 수 없다.

하지만 농식품가공기계분야의 개발과 정부차원의 산업육성책은 기존 농기계나 6차산업과 관련한 가공식품산업에 투자하는 것만큼 뒷받침 되지 않았다. 기계의 수요자가 농업인이나 식품 소비자가 아니고, 농기계 분야와 식품분야 사이에 애매한 영역으로 자리 잡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정부 내에 농식품가공기계 전문인력이 없어 관련산업을 지원할만한 컨트롤타워를 설립하거나 산업체의 입장을 대변할 수 없다.

농식품가공기계 전문인력 육성이 미비한 원인과 정책이 필요한 이유 및 해결방안에 대해 알아본다.

◇분야 방대하고 애매해서 인력양성 미비해

농식품가공기계분야의 전문인력을 양성하지 못하는 가장 큰 이유는 분야가 방대하기 때문이다. 농식품가공기계라고 할 수 있는 범위는 생물학, 열역학, 기계학, 물리학, 식품공학, 냉동기술, 전기전자, 계측센서, 생물학, 세균학 등 광범위하다.

게다가 하나의 학문에만 걸쳐있지 않고 애매한 영역에 있다. 예를 들어 쌀을 가루로 만드는 분쇄기를 개발할 경우 쌀의 특성에 대한 지식과 엔진이나 열에 관한 기계학문을 동시에 섭렵하고 있어야 가능하다.

정부가 전통적 기계학보다 ICT접목산업에 중점적으로 지원하는 것도 인력양성의 애로가 된다.

농산물의 멸균, 세척, 분쇄, 착즙 등의 많은 분야에서 기계가 해외기술보다 뒤쳐진 실정인데 기계보다 분광센서나 IT지식을 가진 인력이 주류가 된 것이다. 따라서 근적외선이나 음파 등을 이용한 농산물 비파괴선별 분야는 세계적으로 앞서지만 농산물 전처리나 가공분야에 좋은 품질의 기계를 생산하거나 선도적인 기술을 개발하지 못하고 있다.

◇농식품가공기계 품목 한정돼있고 품질과 사후봉사도 미흡해

정부는 6차산업 육성사업을 시작하면서 해당분야의 전문인력이 필요하다는 사실을 조금씩 깨닫고 있다.

농촌진흥청 농자재산업과는 오는 8월에 농식품가공기계를 농기계로 규정할 수 있는 범위를 정하고 이를 검증하고 지원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할 예정이다.

지역 특산물을 가공해 시제품을 생산하도록 지원하는 농산물종합가공센터를 설치하면서 여러 문제에 봉착했기 때문이다.

우선 가공기계가 한정돼있다. 국내의 좁은 농업지형에서는 타 지역과 특산물이 겹치는 경우가 많다. 이 경우 제조공정을 달리해 같은 농산물이라도 소비자에게 다른 특성을 가진 제품으로 다가가야 하는데, 시중에 나온 농식품가공기계의 종류가 많지 않다.

미흡한 사후봉사의 문제도 많다. 그나마 개발된 기계도 고장이 잦으며, 부품수급이 원활하지 않기 때문이다. 영세한 업체가 많아 기계를 납품하고 도산하는 경우도 많은데 이 경우 수리할 인력조차 마땅치 않다. 센터 실무자 또한 기계전문가가 아니기 때문에 구매한 업체에만 의존하는 실정이다.

◇다양한 분야 전문가가 협의해 컨트롤타워 구성하고 육성마련책 시행해야

농기계와 식품분야 학계관계자들은 처음부터 농식품가공기계 전문가를 육성할 수는 없다고 주장한다. 대학에 그런 학문체계가 정립돼있지 않고, 해당 분야를 전문적으로 연구한 인력도 얼마 안 되기 때문이다.

초기에는 해당 업체 관계자와 다양한 분야의 학계 전문가, 유관기관 공무원 등으로 컨트롤타워를 구성해야 한다는 것이다.

또 농식품가공기계 개발 및 인력육성을 6차산업 확산사업의 핵심임무로 설정해 대학에 관련학과를 신설하라는 주장이 제기된다. 그렇게 양성한 인력들을 농산물종합가공센터에 배치해 현장의 개발수요를 파악하거나, 국립농업과학원 등의 유관기관에서 연구인력을 확대해야 한다는 것이다.

저작권자 © 한국농기계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