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산지 일관기계화’ 역점 추진

밭작물 기계화만큼은 반드시 우리 농기계, 우리 손으로 이뤄내야 하지 않겠습니까?

최승묵 농림축산식품부 농기자재정책팀 서기관
최승묵 농림축산식품부 농기자재정책팀 서기관

최승묵 농림축산식품부 농기자재정책팀 서기관은 새해 농업기계화 정책방향이 밭작물 기계화 촉진에 있음을 다시 확인했다. 또 밭작물 기계화 촉진의 일환으로 추진하고 있는 ‘주산지 일관기계화 지원 사업’에 농업인과 업계가 더 많은 관심을 가져줄 것을 당부했다. 

농식품부가 올해 국비를 투입해 추진하는 사업은 △농기계임대사업 설치 및 임대농기계 구입지원 △주산지 일관기계화 지원 △여성친화형 농기계 지원 △노후농기계 대체 지원 △임대사업 평가 및 컨설팅 △국제박람회 개최 지원(격년) 등이다. 
이 가운데 핵심은 단연 ‘주산지 일관기계화 지원 사업’과 ‘임대사업소 설치 지원 사업’을 꼽을 수 있다. 주산지 일관기계화는 지난해 220개소를 대상으로 총 440억원(국비 50%, 지방비 50%)의 예산을 책정했지만 사업목표를 달성하지는 못했다. 

최 서기관은 “중앙정부의 정책사업 추진 방향에 대해 지자체 관계자들의 충분한 이해와 합의가 이뤄지지 못한 점이 아쉬웠다”며 “사업 활성화를 위해 지자체는 물론 영농법인 또는 농업인이 주산지 사업에 더욱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장기임대료를 구입가격의 20%로 낮췄고, 연간 의무 농작업 면적도 대폭 완화했다”고 강조한다. 

시군 농업기술센터의 농기계임대사업이 밭작물 작업기 중심의 단기임대가 주류를 이뤘다면, 주산지 일관기계화 사업은 마늘, 감자, 양파 등 주요 밭작물을 생산하는 공동이용조직에 장기임대 형태로 농기계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특히 기계화가 크게 뒤쳐진 파종·정식, 수확 분야의 기계화를 위한 노력이 한창인 것이다.    

급격한 농촌인구 감소, 노령·여성화에 따른 농촌 노동력 부족 문제는 해마다 심화되고 있다. 또 쌀 공급과잉 구조개선을 위해 정부는 꾸준히 논에 쌀 대신 밭작물을 재배하도록 유도하는 등 ‘논타작물 전환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이처럼 밭작물 생산을 위해서는 농기계는 꼭 필요하지만 반면 생산업체로서는 마땅히 시장이 형성되지 않아 개발 및 생산 의욕이 떨어질 수밖에 없는 구조적 문제부터 해결해야 했다.  

최 서기관은 “농가가 필요로 하고, 또 기계화를 통해 농업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 성능을 갖춘 농기계는 일정한 판로를 확보할 수 있는 게 중요하다”며 “특히 경운·정지, 방제 분야와는 달리 파종·정식 및 수확용 농기계는 기계화의 초기단계로 업체가 조금만 관심을 갖고 기술개발에 노력한다면 충분히 새로운 시장에서 주역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농업 정책과 농기계산업은 매우 밀접한 관계에 놓여있다. 지난 기계화의 역사가 이를 반증하고 있으며, 스마트팜 관련 정책이 봇물을 이루며 관련 기계·자재 산업이 활기를 띠고 있는 요즘이다. 

최 서기관은 “정부의 정책 목표와 추진방향에 대한 충분한 이해와 공감을 한다면 사업에서도 분명 좋은 아이디어를 얻을 수 있을 것”이라며 “더 많은 우리 농기계가 밭농업 현장에서 쓰일 수 있도록 정부가 더욱 많은 관심과 지원을 다 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한국농기계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