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스마트팜 기술 소프트웨어로 해결해야
축종별 스마트팜 모델 개발 등 연구과제 진행

2015년 낙농 ICT 융복합 모델화 사업 시스템 구축을 통해 축산스마트팜을 적용한 국내의 한 축사 모습, 목걸이형 태그로 다양한 개체 정보확인이 가능하다.
2015년 낙농 ICT 융복합 모델화 사업 시스템 구축을 통해 축산스마트팜을 적용한 국내의 한 축사 모습, 목걸이형 태그로 다양한 개체 정보확인이 가능하다.

네덜란드, 뉴질랜드 등 스마트팜 선진국에서는 축산스마트팜 관련 기기와 시스템 등 핵심 기술개발이 한창이지만 국내 산업은 선진국을 따라가기에 급급한 실정이다. 관련 전문가는 국내 축산스마트팜 사업이 선진국 대열에 합류하기 위해서는 한국형 소프트웨어 기술개발이 중요하다고 지적했다. 

국내 축산 분야는 아직 초기 단계다. 지난 2014년부터 시작된 스마트화 사업은 양돈을 시작으로 다음해 양계, 2016년에는 젖소와 한우 등을 추가해 적용 대상을 확대했다.

정부는 축산스마트팜사업을 총 3단계로 구성하고 이에 맞춘 기술개발에 주력하고 있다. 1단계는 가축관리의 편이성을 높였다. 2단계는 지능형 정밀 생육관리로 생산성을 향상시킨다. 3단계는 로봇기술과 축사 열관리 기술을 도입해 무인축사의 기틀을 마련하는 것이 목표다.

목표수행을 위해 농림축산식품부는 축종별 스마트팜 모델 개발, 한국형 로봇착유기 개발 등 30여개 연구과제를 진행하는 등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하지만 아직 국내 축산스마트팜 기업의 기술력은 해외 기업들에 못 미친다는 것이 사용자의 평이다. 이 같은 이유에 대해 업계 관계자는 “해외 기업들은 다양한 축종의 방대한 데이터를 10년 이상 축적해 이를 소프트웨어에 반영하고 있어 정확도가 높다”며 “국내 스마트팜 사업은 초기 단계로, 축적한 데이터양이 적고 시간이 짧은 것이 문제”라고 토로했다.

학계 관계자는 “이미 유럽 등 축산선진국에서는 3세대 기술을 상용화했고 우리는 이를 목표로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며 “스마트팜 선진국과 같은 방향으로 진행하면 결코 따라잡을 수 없을 것”이라고 경고했다. 또 그는 “스마트팜 사업의 선진화를 위해서는 포지셔닝을 달리해야 할 필요가 있다”며 “한국의 특성에 맞는 소프트웨어의 개발로 한국형 축산스마트팜 사업을 이끌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저작권자 © 한국농기계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