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기업·유지보수, 3박자 맞춰 기술개발 이뤄져야

ICT 산업의 핵심인 자율주행 농기계의 보급이 눈앞으로 다가왔지만, 유지보수 전문 능력의 부족으로 A/S 대란이 우려된다는 지적이다.

최근 ICT 농업이 시설원예 중심에서 노지까지 확산하는 추세다. 정부도 이에 맞춰 노지 스마트농업 시범사업을 확대하고 자율주행 무인 트랙터, 농업용 로봇 등 첨단 농기계를 이용한 무인자동화 농업생산단지 시범 조성에 나설 계획이다. 

자율주행 농기계는 위성항법장치로 위치를 파악하고 관성측정장치 기반의 가속도계, 각속도계, 고도계 등으로 기계 균형을 유지한다. 또 조향제어 장치와 변속제어 장치 등으로 농작업을 수행한다. 따라서 지금보다 많은 센서와 카메라 등 관련 부품이 추가된다.

업계 관계자는 “과거 기계식은 닳아서 교환·수리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지만, 전자식으로 넘어오면서 고장 유형의 다양성이 증가했다”며 “더 정밀한 기계가 필요한 자율주행 기능이 더해지면 수리의 다양성도 함께 증가할 것”이라고 우려했다. 또 그는 “현재 농기계도 튀는 돌 등으로 인해 손상되는 경우가 많아 핵심 센서나 카메라 등의 파손 사례가 빈번할 것으로 예상한다”며 “더 큰 문제는 하드웨어 보다 소프트웨어의 유지보수”라고 토로했다.

농기계는 그 특성상 신속한 유지보수가 가장 중요하다. 따라서 ICT 농기계 보급에 맞춰 관련 유지보수 교육을 병행해야 한다. 하지만 정부도 관련 기업도 아직 유지보수 문제를 인식하지 못한 채 새로운 기술개발에만 역량을 집중하고 있다. 

유지보수 관계자는 “첨단 기술을 습득해 다가올 미래를 준비하고 싶어도 기술을 배울 곳이 없는 것이 문제”라며 “만약 핵심기술의 유출을 우려해 고장 부위 전체를 교환하는 형태로 진행한다면 유지보수 비용이 큰 폭으로 상승해 경쟁력을 잃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학계 관계자는 “정부는 기술개발을 위해 투자하고 기업과 함께 노력하고 있지만, 정부와 기업 그리고 유지보수가 함께 움직여야 건강한 산업으로 성장할 수 있을 것”이라며 “제품 개발과 함께 유지보수 관련 교육을 함께 진행해야 향후 ICT 농기계의 유지보수 문제를 최소화 시킬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한국농기계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