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지 스마트팜 확대 추진…업계 의견 반영 중요

지난 19일 조합에서 개최된 설명회에 제조사 관계자 30여명이 참석했다.
지난 19일 조합에서 개최된 설명회에 제조사 관계자 30여명이 참석했다.

2020년부터 노지 스마트팜이 확대 추진된다. 하지만 업계는 농지 형상과 경사도가 다양한 환경에 맞춘 기계 개발을 당장 이루기는 어렵다는 입장이다.

농림축산식품부는 최근 ‘지역특화 노지 스마트농업 시범단지 추진계획(안)’을 발표했다. 그간 자동 관수 위주로 진행했던 노지 스마트농업에 스마트농기계를 접목한다는 계획이다.

이와 관련해 지난 19일 한국농기계공업협동조합에서 업계 의견을 나누는 자리가 마련됐다.  

2018년부터 진행된 과거 노지 스마트농업 모델개발 시범사업은 다양하고 창의적인 노지 스마트영농 발굴이 어렵고 실용화 단계의 노지스마트장비와 현장전문가가 부족한 것이 문제였다. 또 2년이라는 짧은 기간 진행된 사업으로 대부분 자동관수 모델 보급이 이뤄졌다.

이에 농식품부는 2020년 이후 사업은 지역별 주산지를 중심으로 특화 품목을 선정해 노지 스마트영농 시범 사업을 2개 시·도를 대상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기존과 다르게 3개년으로 기획해 1차년도에는 기본계획 수립과 중간수준의 ICT 장비 보급, 2~3차년도에는 고급수준의 스마트 농기계를 실증할 방침이다. 스마트 농기계 시설에는 자율주행 트랙터, 정밀비료 살포기, 정밀파종기, 드론, 자동포장기 등이 포함된다. 따라서 자동화 장비·기계지원에 2020년에는 30억 2021년부터는 80억씩 매년 지원할 계획이다. 또 APC와 RPC 등 기존 시설의 스마트화도 함께 진행된다. 
즉, 주산지에서 발생하는 데이터를 수집해 수급예측, 관측기술, 생산·소비 효율성·유통투명성을 높이고 신재생에너지를 통한 자급형 농업을 이룬다는 전략이다. 

이에 A사 영업본부장은 “스마트농업이라는 용어가 명확히 ICT농기계를 설명할 수 없다”며 “해외와 같이 커넥티드 등의 용어를 사용해야 정보통신 기술이 접목된 ICT 농기계 보급이 촉진 될 것”이라고 진단했다. 또 그는 “용어의 혼동으로 ICT기기가 아닌 농기계도 유입될 우려가 있다”며 “사업의 정체성을 명확히 하기 위해서 용어의 혼동을 사전에 차단할 필요가 있다”고 역설했다.
B사 이사는 “밭작물 주산지라도 농지의 형상이나 경사도가 다양하고 매년 재배작목이 변화해 안정적인 사업이 어렵다”며 “이를 신속히 해결하기 위해서는 논 타작물 재배지에서 테스트를 진행하는 것이 더 실효성 높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C사 대표는 “ICT 농기계의 활용을 위해서는 우선 데이터 등을 표준화할 필요가 있다”며 “다양한 기계의 정보를 분석해 결과를 도축하는 시스템을 마련해야 진정한 노지 스마트농업이 될 것”이라고 일축했다.
 

저작권자 © 한국농기계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