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력부족 해결위해 다양한 정책 마련해야

농기계 사후봉사체계 문제 중 가장 큰 현안이었던 전문 수리기사 인력부족 문제가 주 52시간 제와 최저임금 인상 등의 정책변화로 인해 극에 달했다는 지적이다. 

해마다 심각해진 인력부족 문제는 취업자들이 열악한 농기계 정비 기사를 기피하고 보다 처우가 좋은 자동차 정비 분야에 더 관심을 보이며 심화됐다. 또 농업계 고등학교가 급감한 것과 농기계 내수시장 침체로 사후봉사 수익성이 악화된 점도 한몫했다.

수리인력의 공급보다 수요가 높은 상황에서 대리점들은 수리기사 모시기에 급급한 형편이다. 

대리점 관계자는 “타 지역에 있는 수리기사를 웃돈을 주고 모시려고 해도 어려운 상황”이라며 “대리점 운영도 어려운데 수리기사 인력부족으로 인해 이중고를 겪고 있다”고 토로했다. 

대리점은 인력부족을 해결하기 위해 산업기능요원에 기대했지만 기대는 실망으로 이어졌다. 대리점 관계자는 “산업기능요원은 현역과 보충역으로 나뉘는데, 자격을 갖춘 현역은 배정 인원이 적다”며 “또 보충역은 전문 기술을 보유하지 않은 경우가 대부분으로 교육에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고 말했다. 보충역들은 농기계 수리기사로 활동하며 얻을 수 있는 특혜가 없는 한 대리점으로의 유입은 기대하기 힘들다는 것이다.

이에 따라 정부는 올해 중부권을 시작으로 전국 3곳에 농기계 정비인력 양성을 위한 전문 교육기관을 설립해 연간 120여명의 수리정비 기술자를 배출할 예정이라고 발표했다.

하지만 교육기관 마련과 함께 신속히 인력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다양한 방안이 함께 진행돼야 한다는 지적이다.

업계 관계자는 “우선 농업계 고등학교 인력을 확보해야 한다”며 “기능경기대회 등에서 우수한 성적을 거둔 학생을 기업이 관리하고 졸업 후 일선 대리점으로 취업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방안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또 그는 “일본은 인력부족 문제 해결을 위해 전문 시니어 인력을 활용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다”며 “이를 염두에 두어 은퇴한 인력을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한다면 인력부족 문제를 신속히 해결할 수 있을 것”이라고 당부했다.

학계 관계자는 “과거부터 꾸준히 언급된 수리기사 인력문제의 해결을 위해 정부는 올해부터 전문 교육기관 설립을 준비하고 있다”며 “농기계산업발전의 효율성과 지속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사후봉사 인력을 꾸준히 배출하는 전문 인력육성 시스템의 구축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한국농기계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