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학 기자의 ‘스마트 농업’들여다보기

전 세계적으로 4차 산업혁명과 이를 통한 미래 먹거리 선점 경쟁에서 승리하기 위해 모두가 혈안이다. 전문가들은 30년 뒤에는 세계인구증가가 현재 76억 명에서 100억 명까지 늘어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는 분명 식량문제까지 이어질 것이라는 우려의 목소리도 커지고 있다. 이를 대비하기 위해 전 세계는 식량 생산 증가를 위한 투입 자원의 최소화와 수확량의 최대화를 위한 스마트기술 접목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스마트 농업 기술 경쟁이 매우 뜨겁다.

스마트 농업은 미래농업의 주요 핵심으로 지목되고 있으며 식량부족 및 식품 안전성 문제의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다. 지난 2010년 전 세계 곡물의 시장규모는 14,000억 달러인데 스마트 농업기술의 발전으로 미래의 식량 문제를 해결하는데 그 역할의 중요성이 더욱 커질 전망이다. 세계적으로 스마트농업 기술은 생산량을 높이기 위한 정밀 제어, 유통 전반에 걸친 유통관리시스템 및 에너지 절감을 위한 시설기술에 대한 연구개발이 중심을 이루고 있다.

네덜란드는 원예 자동화 시스템’, 이스라엘은 경작 환경 모니터링 시스템’, 일본 같은 경우는 농업용 로봇 위주의 스마트 농업 기술 개발 등이 이뤄지고 있다. 이처럼 농업 선진국들은 각각 자신의 나라에 맞춤형 스마트농업 기술 개발을 진행해왔으며, 일부는 상용화 돼 자신의 역할을 톡톡히 해내고 있다.

하지만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해외 농업 선진국들과는 달리 스마트 농업 기술 연구와 생태계 조성에 있어 대기업의 시장 참여를 둘러싼 논쟁과 같은 여러 방해요소로 인해 제대로 된 해법을 찾지 못한 채 갈피를 못 잡고 있는 상황이다.

스마트농업 산업 활성화를 위해 우리가 꼭 짚고 넘어가야 할 것들이 무엇인지에 대해 살펴본다.

 

스마트팜 보조사업에 대한 변화가 필요하지 않은가

 

스마트팜의 보조사업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눠진다. 농림축산식품부 스마트팜 확산사업 통한 50% 보조, 30% 융자, 20% 자부담 사업과 기초지자체 별로 시행하는 보조금 70~100% 까지 다양한 보조금 사업으로 진행되고 있다.

최근 관련 업계에서는 이 두 가지 사업에서 50% 보조사업에 대한 불만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같은 지역내에서 어느농가는 100% 보조, 어느농가는 50% 보조사업을 이뤄지다보니 농가 입장에선 제품의 완성도나 품질 등에 관심을 갖기 보단 얼마의 보조금을 받을 수 있나에 관심이 쏠리고 있는 상황이다.

이는 설치하는 농가입장에서는 본인에게 현재 적합하지 않은 스마트팜을 설치하게 될 경우가 발생할 수 있으며, 기업 입장에서는 보조사업 수혜를 받는 농가 찾기에 집중할 수 밖에 없게 된다. 이는 제품의 품질이나 A/S에 집중하기보다 저가형 영업에만 매달릴 수밖에 없는 상황까지 이어질 우려가 있는 것이다. 정작 스마트팜 기술과 장비가 절실하게 필요한 농가가 설치한다기 보단 보조금 수혜자가 스마트팜을 설치하는 상황이 지속되고 있는 것이다.

 

 

 

한국형 스마트팜, 어떤 방향으로 나아가야 할까

 

IoT, 클라우드, 빅데이터, 인공지능 등 이와 같은 구조에 맞게 설계되고 구성돼야 한다. IoT는 모든 사물이 인터넷이 연결돼 있어야 한다는 이야기다. 그러면 우리가 적용하고자 하는 온실 개별 장치나 시설에 대해 어떻게 통신에 연결돼야 하는 지를 고민해봐야 한다. 적용대상인 시설하우스가 단동형이든 연동형이든 또한 노지나 과수에 적용이든지 시설의 여러 요소들이 네트워크에 연결돼 클라우드로 저장되도록 설계돼야 한다.

특히 국내 시설하우스의 80~90%는 단동하우스다. 하지만 현재 스마트팜 시스템은 단동과 연동을 구분하지 않고 개발돼 열악한 단동하우스 적용에 무리가 있다. 단동하우스는 네트워크 연결이 어려운 곳과 어쩔 수 없이 외부 환경에 시스템이 노출돼야 하는 경우가 있다. 이런 실정에 맞춰 야외 설치도 가능한 제품을 개발해야 한국형 스마트팜으로 부를 수 있을 것이다.

내구성을 강화로 열악한 환경에서도 구동이 가능한 시스템은 연동형이나 유리온실 환경에도 쉽게 적용이 가능해 수출 가능성을 높여준다.

스마트농업 관련해 산 연 은 그것을 사용하는 농가의 현황을 파악하고 농가가 원하는 제품을 만들어야한다. 농가에서 선택할 수 있는 제품을 만들 수 있게 많이 보급하는 것 보단 제대로 보급할 수 있는 정부정책 개선 또한 필요하며 속도조절과 인프라 구성에도 힘써야 할 대목이다.

 

 

저작권자 © 한국농기계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