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 변화 변수 많아 예측 어려워

지난해 농기계시장은 트랙터의 견인으로 2017년 대비 약간 상승했지만 승용이앙기, 콤바인, 스피드스프레이어, 농용난방기, 농산물저온저장고, 동력제초기 등 주요 기종은 판매부진이라는 결과를 낳았다. 농업노동을 대체하는 수단인 동시에 미래 스마트 농업의 핵심인 농기계 발전의 중요성은 모두 공감하지만 농기계 성장정체로 비롯되는 농기계산업 전반에서 일어나는 어려움은 지속될 전망이다. 농진청 신기술 농업기계 지정업체와 스마트팜 사업을 담당하는 업체들은 밭작물기계화촉진사업 등으로 정부의 지원이 이뤄져 올해는 소폭 상승할 것으로 예측했다. 이밖에 다른 업체는 지난해와 동일할 것으로 내다봤으며, 일부는 변수가 많아 예측이 힘들다는 주장이다.
 
 

△ 지난해와 같거나 소폭 상승 기대
밭작물기계화촉진사업과 스마트팜보급사업 등 정부의 지원이 이뤄지는 업체는 대체로 올해 소폭 상승할 것으로 기대했다.

조진석 강농 대표는 “정부 정책으로 밭작물 시장이 견인될 것으로 올해 강농은 내수뿐 아니라 동류럽 시장에도 진출할 예정”이라며 “하지만 신기술에 대한 정책 반영이 신속히 이뤄진다면 국가경쟁력을 갖추는데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건원 지원 대표는 “정부 지원사업으로 지난해보다 성장할 것이나 스마트팜은 원예 위주로 움직여 축산의 움직임은 크지 않다”며 “중소형 축사에서는 국산제품을 대형 축사에서는 외산 제품을 선호하고 있어 보급을 견인할 수 있는 제품개발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최영경 다운 대표는 “정부는 올해 제조업 활성화를 위한 R&D에 상당히 빠른 대응을 보이고 있어 이를 통해 소폭 상승할 것으로 기대한다”며 “특히 과제편성 비율이 상용화 기술 65%, 기초기술 35% 비중으로 기초기술이 늘어 축산업 기술부족 현상이 해결될 것”라고 내다봤다.

다운은 오는 3월 중 신제품 2종을 소개할 예정으로 개발 중인 로봇착유기는 올해 현장테스트를 실시해 내년에 런칭할 계획이며 올해는 SK와 함께 아랍에미리트에 축산스마트팜 공급사업을 함께 진행할 방침이다.

장현식 코리아하이테크 대표는 “올해는 승용동력운반차의 적재량이 200kg로 낮아져 검증을 위한 제품 단가를 낮출 수 있는 가격경쟁력을 갖춘 제품이 출시돼 시장을 견인할 것”이라며 “인증완화에 따라 승용동력운반차 시장이 활성화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 정책 변화에 따른 변수가 많아 시장 전망 어려움
김채주 생명과기술 대표는 “선별기 시장은 지난해와 비슷할 것으로 전망된다”며 “이미 시장의 성장곡선이 꺾여 신규제품의 수요는 줄었지만 교체 수요가 증가하고 있어 시장에 큰 변동은 없을 것”으로 전망했다. 하지만 김 대표는 선별기와 세척기 시장은 PLS와 주 52시간 근무 등 이슈에 따라 큰 변동이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김 대표는 “PLS는 과일에 남은 잔류농약을 어떻게 처리함에 따라 세척기 시장에 영향이 미칠 것”이라며 “또 52시간 근무로 인해 과일 선별 작업 시 기존의 품질 위주 선별에서 패러다임이 변화할 것”이라고 말했다.

문상현 상현하이텍 대표는 “상현하이텍 코브라자동사다리는 지난해 소폭 상승했으며 올해도 지난해와 비슷할 것으로 전망한다”며 “자동사다리는 융자 등에 영향이 없어 정부 정책에 따른 큰 시장변화는 없다”고 말했다.

박장혁 로웰에스엠 대표는 “올해부터 승용동력운반차의 적재중량이 낮아지면서 운반차 시장이 다시 활성화할지 농민피해로 이어질지 가늠하기 어렵다”며 “제도의 변화와 함께 제도가 완벽히 정착될 수 있도록 다각도의 노력이 필요하다”고 촉구했다.

김광성 농산연구소 상무는 “최근 농산물 저온저장고 시장에 안정적인 서비스나 제반 여건이 마련되지 않은 업체들의 난립으로 장기적으로 많은 문제가 나타날 것”을 우려하며 “정부 차원에서 농기계시장 진입 시 최소한의 가이드라인을 만들어 농가를 보호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김광성 농산연구소 상무는 “최근 농산물 저온저장고 시장에 기술력과 A/S 등 사후관리 체제를 갖추지 못한 업체가 사업에 들어와 향후 농민들의 피해가 발생할 것”을 우려하며 “이 같은 문제는 정부차원에서 업체가 농기계 시장 진입 시 기술력 등을 판별하는 최소한의 가이드라인을 만들어 농가를 보호할 수 있는 조치를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지난해 보다 소폭 상승을 기대하는 업체도 있지만 정책 변화에 따라 올해를 전망하기 힘들다는 업체들도 있어 정책 변화에 앞서 변화될 산업 모습을 미리 예측해 대비하는 정부의 모습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저작권자 © 한국농기계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