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년 농기계 임대사업소의 실태를 분석한 결과가 공개돼 향후 임대사업소의 운영 방향을 결정할 지표가 될 전망이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은 '2017년 농기계 임대사업소의 주요 실태 분석 결과'를 최근 발표했다. 보고서에는 '농기계 임대사업소 일반현황', '농기계 임대사업소 임대실적 및 전담인력', '농기계 임대사업소 조직확보와 사업의 지속성' 등의 내용이 담겼다. 이번 호에서는 지난 호에 이어 실태 분석 결과 중 농기계 임대사업소 임대실적 및 전담인력, 조직확보와 사업의 지속성에 대해 알아본다.

△ 단기임대가 99.7% 차지
우선 임대실적을 살펴보면, 농기계 임대사업소가 보유한 농기계의 대당 전체 평균 임대일수는 10.5일로 2016년 10.9일 대비 0.4일 낮아졌다. 이 중 밭농사용 농기계의 평균 임대일수는 10일로 지난해 대비 0.4일, 논+밭농사는 8.7일로 0.9일, 기타가 11.3일로 4.5일 각각 단축됐다. 반면 논+밭농사는 12.5일로 0.6일, 축산은 15.1일로 7.2일 증가했다. 축산농기계 임대일수가 많이 늘어난 것이 눈에 띈다.

농기계 임대사업소의 농기계 임대 기간을 보면 대부분 단기임대로 전체의 99.7%를 차지한다. 반면 장기임대는 0.3%에 불과하지만, 지난해 0.2%에 비해 0.1% 증가한 수치다.

2017년 전국 농기계 임대사업소의 전담인력은 총 1,436명으로 정규직이 991명(69%), 계약직이 445명(31%)으로 나타났다. 사업소당 평균 전담인력은 10.2명으로 지난해 9.6명보다 0.6명 늘어났다. 인력은 2016년에 비해 2017년 79명 증가했고 계약직은 2.3% 감소하고 정규직이 2.3% 증가했다. 하지만 평균 근무연수와 근무 일수를 보면 정규직은 평균 9.5년으로 0.2년 감소했으며, 계약직은 243일로 2016년 대비 10일 증가했다.

전국 농기계 임대사업소 전담인력의 전문인력 비율은 평균 71.8%다. 임기제 공무원을 제외한 모든 전문인력이 2016년 대비 증가했다. 전문교육 이수자는 12.8%로 1.3%, 농기계 자격증 소지자는 56%로 5.4%, 농기계학과 졸업자는 9.7%로 2.3%, 무기계약직은 35.7%로 8.3%, 5년 이상 경력자는 30.2%로 4.4%, 전문경력관은 5.2%로 0.4% 늘었다. 임기제 공무원만 5.5%로 0.3% 감소했다.

△ 전담조직 운영사업소 76.4%
전국 농기계 임대사업소 가운데 전담조직이 있는 사업소 비중은 76.4%로 전담조직 없이 운영되는 사업소는 23.6%로 파악됐다. 전담조직을 구성해 운영하는 임대사업소의 경우 팀제 이상의 조직을 갖춘 곳은 91.6%로 대부분의 사업소가 별도 팀으로 운영 중인 것을 알 수 있다. 2016년 팀제 이상의 조직은 73.8%로 1년간 17.8% 증가한 수치다.

임대사업소의 심의위원회 운영은 0.7% 낮아졌다. 심의위원회를 운영하는 사업소는 94.3%로 대부분의 사업소가 운영하고 있지만, 수요조사 후 농기계 구매계획에 반영하는 비중은 82.3%로 2016년 대비 4% 감소했다. 대신 평균 심의위원회 인원수는 10.6명으로 0.6명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심의위원 중 여성 농업인이나 여성 농업인단체가 포함된 경우는 88.7%로 2016년 대비 1.9% 줄었다.

수익구조를 살펴보면 농기계 임대사업소 수입은 1억 원인 반면 비용은 7억 원으로 6억 원 내외 적자가 발생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2016년에는 9,086만 원의 수입에 6억5,083만 원의 비용이 발생해 5억5,996만 원의 적자가 발생했다. 2017년에는 1억226만 원으로 수입이 증가했지만 7억6,6811만 원의 비용으로 총 6억6,454만 원의 적자가 발생했다.

△ 중장기 추진계획 수립 47.5%에 그쳐
농기계 임대사업소 중 중장기 추진계획을 수립하는 곳은 47.5%에 그쳤고 임대사업용 농기계 구입을 위한 기금을 조성한 사업소는 3.5%에 불과했다. 다만 임대사업소 대부분이 소속 지자체의 농기계 임대사업 관련 조례를 보유한 것으로 나타났다. 중장기 계획을 수립한 사업소는 2016년 43.8%였지만 2017년 47.5%로 4.3% 감소했으며, 관련 조례를 보유한 사업소는 2016년 100%에서 2017년 99.3%로 0.7%가 조례를 보유하지 않았다. 또 기금조성도 2016년 3.6%에서 2017년 3.5%로 감소했다.

임대사업소 중 고령농가나 여성농가에 대해 우대지원을 하는 사업소는 전체의 22.1%며, 다른 시·군, 농협, 민간 등과 농기계를 공동 이용한 경험이 있는 비중은 12.6%에 그쳤다. 2016년에 비해 우대지원은 2%, 공동이용은 0.9% 증가했지만, 개선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인센티브 현황을 보면 임대사업소 담당자가 민원수당을 받은 경험이 있는 사업소는 전체의 5.1%에 불과했으며 이마저 2016년 대비 2.9% 상승한 수치다. 또 담당자나 조직이 포상을 받은 경험이 있는 비중은 31.2%로 2016년 23.4%에 비해 오히려 감소했다. 임대사업소 업무로 인해 근무평가에서 가점을 부여받은 전담인력이 있는 경우는 7.2%로 전년 대비 3.5% 증가했다. 임대사업소 담당자의 사기진작을 위해 포상과 가점부여 비중을 더 높여야 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분석됐다.

저작권자 © 한국농기계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