같은 업무에 차별받은 공무직 40% 달해
직제 체계화, 처우개선 "근무의욕 높여야"

시군 주관 농기계임대사업의 지속적인 운영을 위해서는 전문인력의 안정적인 근로체계 구축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특히 같은 업무에 종사하고 있는 정규직 공무원과 공무직(기술직 등) 간의 임금격차, 시군별로 임대사업소 근무자에 대한 처우가 크게 차이나고 있어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이 최근 주관한 전국 농기계임대사업 발전을 위한 워크숍에서 밝힌 자료에 따르면 2017년 기준 전국 임대사업소 근무자는 총 1,436명으로 집계됐다. 이를 고용형태별로 살펴보면 정규직이 991명(69%), 계약직은 445명으로 전체의 31%에 달했다. 계약직의 연간 근무일수는 평균 243일에 불과했다.

전국 임대사업소 근무자 가운데 농기계자격증 소지자는 전체의 56%였고, 농기계학과 졸업자는 9.7%로 나타났다. 전문교육 이수자(12.8%)를 포함해도 임대사업 전담인력 가운데 전문인력의 비율은 평균 71.8%에 그쳤다. 

또 임대사업소 전담인력을 직종별로 살펴보면 일반직종은 행정직이 7.9%, 지도직 29.3%, 공업직 52.6%였으며, 별정직종인 전문경력관은 10.1%로 임대사업소마다 다양한 직종의 근무자가 혼재돼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전체 임대사업소 전담인력의 약 40%에 달하는 공무직 근무자는 일반 공무원과 같은 업무를 수행함에도 성과상여금 지급대상에 제외되고, 명예퇴직이나 직급승진의 기회마저 제한되는 등 보수와 처우에서 불이익을 받고 있다는 지적이다.

농경연 관계자는 “임대사업의 안정적인 운영을 위해서는 전담인력을 ‘농업기계 운영직류’ 신설로 통합해 구성하고, 급여체계 및 각종 수당, 복지혜택 등을 동등하게 부여해 근무의욕을 높여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한국농기계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