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럼이나 위원회 등 창구 통해 충분히 의견 반영 모색해야

최근 스마트팜이 미래농업의 화두로 대두되면서 기관을 중심으로 기술 및 장비의 표준화 활동이 활발하다.

하지만 관련 기술을 농업에 구현하고, 기계화를 담당해야 할 농민과 제조업체의 의견이 이같은 기관 주도 표준화 활동에 반영되지 않고 있다는 지적이다.

자칫 현장의 여건이 충분히 반영되지 못한 표준화 추진으로 기관과 농민, 기자재 업체간의 엇박자가 심화될 수 있다는 우려다.

학계 관계자는 “이러한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해서는, 우선 기업체들이 자신의 기술을 독점하기보다 공유를 통해 더 큰 국내외 시장을 선점하겠다는 비전을 가져야 할 것”이라며 “기관은 사용자인 농민과 생산 기업체를 위해 표준화를 추진하는 것은 물론, 포럼이나 위원회 등의 창구를 통해 그들의 의견이 표준화에 충분히 반영될 수 있도록 더 많은 노력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또 최근 국·내외적으로 스마트팜 표준화에 기술 표준 활동에 대해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 것에 비해 아직까지 산업계에 널리 적용되지는 못하고 있다는 것이 관련 전문가들의 의견이다.
그 이유는 현재 만들어진 표준이 ‘개념 정립’ 및 ‘인터페이스 정의’ 수준이기 때문이라고 말한다.
도입 확산까지 가기에는 좀 더 많은 시간이 필요하다는 것도 있지만, 가장 큰 이유는 관련 당사자간 복잡한 이해관계가 얽혀 있어 표준화 추진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설명한다.

관련 전문가는 “최근 스마트팜 관련 업계에서는 표준화에 대한 중요성이 공감되어 많은 협력 관계가 이루어지고 있는 추세”라면서 “표준화는 당장은 불편할 수 있지만 좀 더 큰 시장과 좀 더 먼 미래를 생각하면 이것이 많은 기업에게 더 큰 경쟁력을 제공할 수 있는 필요수단이 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한국농기계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