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조 · 유통 · 정부 등 해법 모색해야… "수출이 돌파구'

446호 만평
446호 만평

중고농기계 적체현상이 갈수록 심각해지고 있다는 지적이다. 농기계대리점마다 중고 트랙터·콤바인·이앙기 등이 수북이 쌓이고 있지만 정작 중고기계를 찾는 소비자의 발길은 뚝 끊긴지 오래라는 하소연이다. 

전북 A대리점 대표는 “그나마 트랙터는 연중 수요가 꾸준해 사정이 좀 낫지만 콤바인과 이앙기는 한 해만 넘기도 잔존가치가 반토막 날 정도로 상품성이 급격히 떨어져 손해가 이만저만이 아니다”라고 토로한다.

전남의 또 다른 대리점 대표는 “올 봄 이앙시즌이 끝날 때까지도 팔리지 않아 2, 3년째 보관 중이던 이앙기 14대를 한 번에 고물로 폐기처분했다”며 “중고이앙기를 인수할 때는 최소 대당 100만원에서 많게는 500~600만원까지 보상 판매했는데 오죽 답답했으면 손해를 감수하면서 고철로 처분 했겠는가”라며 한탄한다.      

한국농기계유통사업협동조합 관계자는 “농기계 대리점마다 보통 중고 콤바인 4~5대, 이앙기 10여대 정도는 전리품처럼 모셔놓고 있는 형국”이라며 “족히 2~3억원의 자금이 꽁꽁 묶여 대리점 운영부실의 뇌관이 아닐 수 없다”는 설명이다.   

중고농기계의 심각한 적체현상이 신품기계 판매부진에도 직격탄이 되고 있다는 지적이다. 대부분의 농가가 자신들이 보유한 중고기계를 대리점이 인수하는 조건으로 신품농기계 구매에 나서고 있어 중고농기계 평가액에 따라 자부담 규모가 증감하기 때문이다. 

유통업 종사자에 따르면 “신품판매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중고기계 보상가격이 시세를 뛰어넘는 사례가 비일비재했다”고 지적한다. 그는 이어 “중고기계 적체가 심각하지 않을 때는 대리점이 인수한 중고기계를 수리해 되팔거나 부품이라도 떼어 팔았지만 지금은 이마저도 신통치 않다”며 “중고기계 인수에 부담을 느낀 대리점이 무리해서 신품을 판매하려 들지 않음에 따라 신품시장 침체에도 적잖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것이다.

이처럼 유통분야의 중고농기계 적체현상이 농기계산업에 ‘동맥경화’를 일으켜 제조기반마저 무너뜨릴 수 있다는 우려가 거세지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중고농기계의 수출확대가 해법이 될 수 있다는 주장이다. 정부도 중고농기계의 수출활성화에 적극 나설 방침을 분명히 했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중고농기계 수집 및 물류비용, 상품성평가와 품질인증, 부품조달, 재생부품 적용확대 등 중고농기계 상품성을 높여 동남아 등 신규시장 발굴을 적극 지원할 계획”이라며 “중고농기계 수출활성화 사업을 위해 연간 100억원의 융자지원이 가능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저작권자 © 한국농기계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