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품질 농기계 개발 위해
과도한 가격 할인 막아야

조병연 동양농기 완주전주대리점 대표
조병연 동양농기 완주전주대리점 대표

조병연 동양농기 완주전주대리점 대표는 "농기계 산업의 미래를 위해선 제 살 깎아먹기 경쟁에서 벗어나 수입기종에 대응할 수 있는 품질 경쟁이 이뤄져야 한다"며 "이를 위해서는 수입기종 보조·융자 자제, 정부 보조금과 농협농기계 은행 최저가 입찰 개선 등이 우선돼야한다"고 주장했다.

조 대표는 지난 1989년 동양농기 완주전주대리점을 개업해 29년간 동양물산기업 농기계를 판매하고 있다. 대리점 개업 전 젊은 시절에는 바나나 등 특수작물을 재배했고, 농기계센터도 운영한 바 있는 농기계 유통의 베테랑이다. 조 대표는 "초기 경운기부터 소형트랙터를 거쳐 지금의 대형기계까지 다양한 제품을 판매했다"며 "전성기였던 2000년 초반, 전주지역의 농기계 시장은 80억원 규모로 그 중 시장의 50%를 점유했었다"고 말했다.

전주 지역은 최근 발전으로 아파트 등이 들어서 논과 밭은 감소했다. 농기계 수요도 함께 축소돼 전성기에 비해 50%까지 줄었다. 현재는 배 등 과수가 주 생산품으로 50~70마력 소형트랙터를 주력으로 공급한다.

어려운 상황이지만 동양 완주전주대리점은 조 대표의 운영방침으로 완주·전주 지역에서 33%의 점유율을 유지하고 있다. 조 대표는 "신속한 A/S로 고정고객을 관리하고 있고 이로 인한 바이럴마케팅을 유도하고 있다"며 "뿐만 아니라 동양농기 제품에 다양한 옵션을 개발해 제품에 적용·공급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대리점은 콤바인용 비산방지용 커버를 개발해 적용하고 있으며, 사각이 발생하는 기계는 후방카메라를 추가로 장착해 안전성을 높였다. 이 같은 조치는 지역 농민들에게 주목받으며 대리점만의 장점으로 부각됐다. 이는 직접 작물을 재배한 경험과 더불어 농기계의 발전과 함께해온 조 대표의 엔지니어 노하우가 있기에 가능했다.
조 대표는 농기계 시장에 퍼져있는 다양한 문제를 꼬집으며 아쉬움을 토로했다.

조 대표는 "국내 기종과 수입 기종이 같은 조건으로 정부지원을 받는 것은 어불성설"이라며 "직접생산확인증명서 등으로 국내 기업을 보호할 수 있는 확실한 제도적 장치가 필요하고 수입 기종은 오히려 높은 세금을 부과해야 한다"고 말했다. 조 대표에 따르면 국내 기종도 기술력이 많이 향상됐지만 아직 내구성은 수입 기종에 미치지 못하며, 이는 기업이 제품 가격을 주도하지 못하기 때문이라고 평가했다.

동양농기완주전주대리점 전경
동양농기완주전주대리점 전경

조 대표는 "가격경쟁에서 벗어나 품질경쟁을 이뤄내야 하지만 농협의 경쟁 입찰 방식으로 제품 가격이 무너졌다"며 "농협은 경쟁 입찰로 기업이 원가절감에만 집중하는 시장을 만들었고, 이는 단가가 높은 고급농기계 개발의 저해 요인 중 하나"라고 지적했다. 과거 농기계 산업의 유통질서를 흔들었던 최저가 입찰 방식은 기계의 기능과 성능보다는 낮은 가격에만 주목해, 저가 제품이 판치는 시장이 형성될 것이라는 우려인 것이다.

또 기업들은 품질 경쟁을 위해 개발된 고급 기종도 저가로 판매되는 현실에 품질 경쟁을 포기하고, 이는 결국 기업의 경영 악화로 이어져 농기계 산업 침체현상을 일으킬 것이라는 지적과 함께 최근 경쟁 입찰 방식을 일부 변경했지만 근본적인 문제를 해결하지는 못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기업 간 제 살 깎아먹기 경쟁을 품질 경쟁으로 유도 할 수 있는 정확한 가격표시제 등의 정책으로 제품의 과도한 가격할인을 막아야 한다는 것이 조 대표의 주장이다.

조 대표는 농협의 경쟁 입찰에서는 기본 30% 할인이 적용되며, 로터베이터의 경우 50%까지 할인하는 것이 최근 상황이며, 이같이 과도한 할인은 기업뿐만 아니라 대리점 영업에도 치명적이며, 최종 피해자는 농민이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조 대표는 "대리점은 이익이 발생되지 않으면 (농협과 다르게)운영할 수 없어 결국 A/S 등으로 인해 농민의 피해가 커질 것"이라며 "농민들이 (농협의)견적서를 가져와 할인을 요구하는 상황에서 이를 보완할 수 있는 조치가 시급히 이뤄져야 한다"고 당부했다. 이어 “농기계 산업 발전을 위해서는 저렴한 가격을 우선하는 시장을 지금이라도 올바른 방향으로 회복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제조사와 유통사 농업인이 함께 상생발전 할 수 있는 제도적 보완이 필요하다”고 촉구했다.

저작권자 © 한국농기계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