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창형 농림축산식품부 농기자재정책팀 사무관

최근 농림축산식품부에서 ‘농기자재 수출지원 서비스’를 운영하고 중소 농기자재 기업에 특화된 수출 정보를 제공할 것임을 밝혔다.

수출지원 서비스는 유망수출 10개국의 유통, 경쟁, 진입장벽 등의 일반 정보와 바이어 등의 고급정보까지 확인할 수 있어 향후 수출을 준비하는 중소 농기계 기업에 큰 도움이 될 전망이다.

이에 정책 추진을 담당하는 이창형 사무관을 만나 도입취지, 이용방법, 향후 계획 등에 대한 이야기를 나눴다.

 

농기자재 수출지원 서비스를 추진하는 이유는

국내 농기자재 기업의 90% 이상이 연 매출액 100억원 이하인 중소기업으로, 보유한 기술력을 바탕으로 수출을 원하고 있지만 수출국의 현지정보 수집, 신규시장의 발굴 등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상황이다.

물론 중견기업에서는 자체적으로 정보를 분석·활용하고 있지만 중소기업은 인력, 비용 등의 문제로 활용할 수 있는 정보를 얻기는 힘들다. 사업을 주관한 농림수산식품문화교육정보원에서 지난해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다수의 농기자재 기업에서 수출 대상국의 정보부족(36.7%)과 검사 절차의 애로(24.5%)를 호소했다.

따라서 중소 농기자재 기업에게 특화된 수출정보 지원 제공을 목표로 관련 서비스를 준비했다.

농기자재 수출지원 서비스는 농기계, 사료, 친환경농자재, 동물용의약품 등 4개 품목의 유망수출국 10개국을 선정해 시장분석자료를 제공하는 서비스다. 10개국의 시장트렌드, 유통현황, 경쟁현황, 진입장벽, 바이어 정보 등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농기계는 필리핀, 베트남, 중국 등의 정보를 제공해, 수출에 앞서 확실한 정보를 바탕으로 사업을 진행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서비스를 이용하는 방법은

농식품 해외정보 공유서비스(www.maps.or.kr)에 접속해 유망 수출 10개국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품목별로 유망 수출국에 대한 수출 절자, 인허가 정보, 유통 구조, 시장 특징, 수출국 기관 조직도를 편리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구성했다.

농기자재 수출지원 서비스는 지난해 정보를 모아 시스템 구축을 마쳤으며 올해는 통계 등에 대한 검증과정을 거쳐 공신력을 높였다. 또 기업들이 수출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를 최대한 담기 위해 노력했다.

 

서비스의 유지관리와 향후 계획은

당장 오는 12월까지 농약, 비료, 종자, 시설자재 등 4개 품목의 12개국에 대한 시장분석정보를 추가할 예정이다.

현재는 국가차원에서 필요한 정보를 우선 제공했지만 이후에는 기업의 의견을 수용해 수출에 필요한 정보를 꾸준히 보완해 나갈 계획이다. 필요한 정보가 있다면 사업을 주관하는 농정원에 의견을 제시하면 반영될 수 있도록 할 방침이다.

이밖에 현재 시스템은 누구나 들어가서 자유롭게 이용이 가능하지만 해외 바이어, 영업 기밀 등 민감한 정보가 있어 회원제로 전환하기 위한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이는 유료화로 이뤄지는 것은 아니며, 각 회사 담장자만 이용이 가능하도록 제한할 예정이다.

유망수출국의 시장분석정보는 꾸준히 업데이트 될 계획으로, 농기자재 수출지원 서비스를 통해 중소 농기자재 업체에 큰 도움이 되길 바란다.

저작권자 © 한국농기계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