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개발 국익 · 사익 차이 명확히 해야

스마트팜 표준에 대한 의견이 엇갈리고 있어 발전에 큰 어려움을 겪고 있다.

최근 작물(딸기, 파프리카, 원예), 경작방법(수경식, 토경식), 시설(비닐하우스, 유리하우스), 시설 설치업체, 제품 공급업체에 따라 기술이 상이해 스마트팜을 구성하기 힘들다는 이야기가 적지 않게 들린다.

이 때문에 관련 전문가들은 스마트팜 도입시 가장 큰 애로사항으로 ‘표준화’를 꼽았으며, 한국형 스마트팜을 확산하기 위해서는 스마트팜과 관련된 기기 및 소프트웨어 기술개발도 중요하지만, 그보다 기술개발의 기준이 되는 표준개발이 뒷받침이 돼야 한다고 지적했다.

하지만 스마트팜 표준화에 대해 산, 학, 연의 의견들이 서로 상충함에 따라 발전방향 설정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에 대해 업계 관계자들은 “다같이 헛걸음을 걷고 있는 것은 아닌지 우려스럽다”는 목소리와 함께 “하루빨리 이에 대한 의견조율을 할 수 있는 기회가 마련되길 희망한다”고 말했다.

모 스마트팜 개발업체 담당자는 “표준화가 진행됨에 따라 수익구조의 변화가 반드시 생기기 때문에 개발업체들의 입장에서는 그에 대해 반대하는 입장이 많을 수밖에 없을 것”이라며 “이 부분에 대해서 정부에서는 조심스럽게 생각해야 될 필요성이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에 대해 관련 연구기관 담당자는 “스마트팜 표준화 과정이 올바르게 진행된다면, 모든 개발업체들이 잘 정의된 표준에 따라 제품을 구현하기 때문에 타 제조사의 제품을 혼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종 제품간 데이터 교환 또한 용이해진다”며 “농업을 통해 우리나라의 경쟁력 제고와 성장 동력을 창출하기 위해서는 이처럼 상호 호환이 가능한 스마트팜 장비를 기반으로 최상의 농산물을 산출 할 수 있는 한국형 스마트팜 환경이 구축이 돼야 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관련 학계 전문가는 “표준화 과정에 앞서 가장 먼저 국익과 사익의 차이를 분명히 해야한다. 표준화 과정을 통해 누군가는 희생될 수 있다. 이를 부정적인 시각으로만 바라봐선 안된다”며 “자신이 희생양이 되지 않기 위해 기술발전에 더욱 노력할 것이다. 하지만 기술발전이 헛걸음이 될 위험성도 존재한다. 그렇게 되지 않기 위해 하루빨리 산, 학, 연이 한데모여 표준화에 대한 의견조율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한국농기계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