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식품부 내년예산에 21억여원 책정, 중부권에 신설
교육기관 3곳으로 확대해 매년 120명 전문가 배출

농기계 정비인력 양성을 위한 전문 교육기관 설립이 추진된다.

농림축산식품부는 농기계 정비인력 부족문제 해결을 위한 교육기관 설립방안을 확정하고, 원활한 사업추진을 위해 내년 예산에 21억7000여 만원을 책정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정부는 중부권을 시작으로 전국에 최소 3곳의 교육기관을 설립·운영해 연간 120명의 농기계 수리정비 기술자를 안정적으로 배출하겠다는 방침이다. 

정비인력 양성 전문교육기관 설립은 농기계 정비 인력 부족문제가 일선 대리점은 물론 시군 농기계임대사업소 운영에까지 큰 부담으로 작용하는데 따른 조치로 풀이된다.

계속되는 내수시장 침체로 수익성이 악화된 농기계대리점은 수리정비 기술자가 처우가 보다 좋은 농협이나 자동차정비 분야로 이직하는 것을 눈 뜨고 지켜볼 수밖에 없는 실정이다. 더욱이 농기계 정비인력 양성의 요람과 같았던 농업계 고등학교 수가 급감함에 따라 새롭게 배출되는 수리정비 기술자를 구하기도 쉽지 않은 상황이다.   

2014년 농촌진흥청은 농기계 정비인력이 필요인력에 비해 최소 1,250여 명이 부족한 것으로 분석했다. 전국 농기계사후관리업소(농기계대리점)를 중심으로 조사한 농진청은 필요인력 대비 개소 당 평균 2명꼴로 수리정비 기술자가 부족하다고 지적했다.

수리정비 기술자 부족현상은 해마다 심각해지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올해 ‘농기계사후관리업소 사후관리품질평가’를 실시하고 있는 한국농기계유통협동조합(이사장 서평원)은 농기계사후관리업소 점검대상 사업장이 총 2,539개소인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이 가운데 도 단위 대형 사후관리업소는 47곳(농업연감 2017)에 불과하다. 대다수 사후관리업소는 중·소형으로 시설과 인적구성이 매우 취약하다는 것이 관련 전문가들의 공통된 지적이다.

관련 기술자격증을 취득하고 사후관리업소에서 3년간 근무하는 수리기사를 산업기능요원으로 편입시켜 병역의무를 미치도록 하는 병역특례제도가 1994년부터 운영되고는 있지만 2014년 67명, 2015년 73명, 2016년 84명에 그치고 있어 근본적인 해결책은 아니라는 지적이다.

중앙정부와 지자체가 운영하는 농기계임대사업소도 해마다 전문 인력 확보에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다. 현재 450개소에 육박하는 임대사업소에는 1~2명의 전문경력관외에 공업직, 지도직, 농업직, 무기계약직, 기간제 등 다양한 직렬로 구성될 정도다.

김승주 전국농기계담당공무원협회장은 “전문경력관을 제외한 인력은 잦은 순환보직으로 업무변동마저 심하다”며 “농기계임대사업의 효율성과 지속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수리정비 기술자를 꾸준히 배출하는 시스템이 필요하다”고 강조한다.

저작권자 © 한국농기계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