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업인 안전 위해서도 제도화 시급

한원희 농기계조합 한국시설원예협의회장의 올해 화두는 ‘수출’이다.


지난해 시설원예기자재 수출이 1500억원으로 추정되며 업계의 노력에 제도적인 보완과 정부지원이 더해진다면 힘을 받을 것이라는 이야기다.


백색혁명을 일궈낸 우리나라는 주요 시설재배 국가이면서 기술력도 네덜란드에 이어 2위라는 자부심을 내비친다. 최근 농업의 주요이슈 중 하나인 ICT도 시설농업에서 먼저 자체적으로 도입했다. “사실 ICT도 시설원예를 이루는 요소 중 하나일 뿐이죠. 수천가지의 기자재와 부품이 시설농업을 가능케 합니다.”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스마트팜 확대와 농업의 4차산업화에서 첨단 시설기자재의 수요가 확대될 것으로 기대된다. 한 회장은 이를 반기면서도 선행돼야 할 것이 있다고 강조했다.


온실분야 자재 품목만 3000가지가 넘는데 명확한 제품기준이 없어 문제라는 것. 쉬운 일례를 들면 동절기 10센티의 눈을 버텨낼 수 있는 온실 부속자재인지, 30센티까지 버텨낼 수 있는 자재인지 소비자로서는 알 길이 없다는 것이다. 정책은 스마트농업, 정밀농업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는데 시설원예기자재의 기본적인 표준이 마련돼 있지 않다는 것은 큰 의문부호를 떠올리게 한다.


이는 우리의 농업 행정이 작물별로 이뤄져 온 탓도 있다. 이렇다 보니 시설원예와 관련된 통계도 전무한 실정이다. “시설원예 시장이나 생산성 등에 대한 데이터가 없어 관련산업 종사자들은 애로점이 많다”는 한 회장의 말이다.


수출을 위해서도 시설기자재와 부품의 표준화가 필수요소다. 이를 고려하지 않고 수출하려다 국제표준 등과 부딪히면 수출 상승기조에 역풍이 올 수도 있다는 것.


무엇보다 농업인의 안전을 고려해도 시설기자재의 표준화는 선행과제하다. “온실도 건축인데 자재기준이 없다면 내진설계를 어떻게 하겠는가.” 지극히 당연한 지적이다. 최근 농업가치 헌법 반영이 이슈가 되며 국민 1천만명 서명운동이 전개됐다. 가장 기본적인 농업인의 안전성이 보장되지 못하고 있는 사실은 왜 간과될까. 한 회장은 답답해 했다.


온실은 수입 경우 턴키로 많이 이뤄지듯 수출 시에도 이에 대한 준비가 필요하다. 심지어 온실 내 작물재배법까지 알려줘야 하는 경우가 많다. 그렇다 보니 한국을 찾은 해외 바이어의 “온실 샘플을 보여달라”는 요청이 적지 않다. 이럴 때 대응할 수 있는 한국시설원예협의회의 온실 마련도 한 회장이 생각하는 숙제 중 하나다.


현재 농기계조합 산하 한국시설원예협의회는 55명의 회원이 모여 있다. 지난 4년간 품질기준을 마련하기 위해 세미나 개최 등 자체적인 노력을 해왔다. 한 회장은 ‘수출’을 올해의 화두로 삼은 만큼 기술 보강과 표준제도 마련을 위한 걸음을 서두르겠다는 각오다.

저작권자 © 한국농기계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