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달에 만난 사람] - 농촌진흥청 밭농업기계교육팀장 김병인

밭농업 농기계 매뉴얼 작업 단계별 진행돼야
농민이 매뉴얼 맞춰 장비관리 · 생산하도록


농촌인력자원개발센터에서 지난 3월 22일부터 23일 양일간 진행된 밭농업기계 확산 페스티벌에서 연·전시 현장과 사무실을 오가며 동분서주 하고 있는 김병인 팀장을 만나 우리나라 농기계 산업의 현주소에 대해 이야기를 나눴다.


“밭농업 기계 보급을 추진하다 보니 기계마다 해당하는 기준은 없고, 현장 농민들 목소리에 치중하다 보면 제각각인 밭농사에 맞춘 표준화 작업이 쉽지 않다”


밭농업 기계 보급화에 앞장서고 있지만 아직은 부족한 것이 현실이라며 아쉬움을 토로하는 이가 있다. 밭농업 기계 보급화의 일선을 담당하는 김병인 팀장이 그 주인공이다. 국립한국농수산대학교에서 미래 농업인 교육에도 몸담고 있는 그는 현실과 차이가 있는 우리나라 농산업 교육에 대해서도 꼬집었다.


“농기계산업의 시장안정화가 이뤄지지 않으니 고급인력은 농산업 지원을 꺼리며, 지원을 하더라도 전문 인력 육성으로 이어지지 않아 타 산업으로 유입되는 실정”이라고 설명했다.


현재 농기계산업은 업체에서 주장하는바와 같이 열심히 뛰어도 이윤으로 돌아오지 않는 문제점을 양산하고 있다. 열심히 해도 성과가 없다는 것은 바로 구조적 개선이 시급하다는 업계 전문가들의 지적과 일맥상통하다.


김 팀장 역시 “작부체계에 따른 표준화 작업이 이뤄지지 않아 밭농업 기계화 작업의 확대가 더딘 것이며, 업체에서는 노력해도 그 만큼의 성과가 돌아오지 않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또 김 팀장은 “빠른 속도로 중국 시장이 진입하는 상황에서 국내 업체가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표준화 작업이 한시바삐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국내 농기계 업체는 규모가 영세해 연구·개발에 매진하기 힘든 실정으로 트렌드에 민감한 외국제품에 비해 변화속도가 느린 것이 사실이다. 하지만 이런 트렌드 보다 중요하게 여겨져야 할 것이 소비자의 안전이다. 특히 독일의 경우 반사판을 비롯한 안전장치를 업체 스스로가 부착하는데 앞장서고 있다고 한다.


“농기계 담당자에게만 책임을 묻지 말고 업체에서 제품생산을 하면서 소비자의 안전까지 고려한다는 마인드가 필요하며 농민 역시도 농기계 사고가 해마다 급증하는 만큼 싼 가격에만 치우치지 말고 안전까지 염두해 제품을 구입해야 한다”고 언급했다.


이는 농기계산업의 실정과도 맞물린다. 농기계임대사업장 대부분이 농민들을 대상으로 하는 교육장을 갖추고 있지 않다.


“안전사고 예방을 위해서는 교육 진행을 위한 교육장은 필수가 돼야 합니다. 예산이 집행되어 임대사업장 자체적인 교육장을 갖추도록 지속적으로 건의할 생각”이라고 한다.


김 팀장은 임대사업장 농기계의 노후화에 대해서도 설명했다. 노후된 비율이 높아 안전에 심각성을 제기함에도 예산이 반영되지 않아 내년에도 재추진해야 하는 상황이라고 한다.


현장과 이론적 요소를 잘 배합해 정책적 요소로 산출하는 김 팀장은 농민이 농기계 관리를 편리하게 하고, 생산 매출도 올리는 방법은 밭농업 기계의 매뉴얼 작업이라고 재차 강조했다.


“이번 밭농업 기계 확산 페스티벌을 통해 국내 경기 여건이 힘들수록 더욱 기업이 살아야 하며 이를 통해 농민에게 혜택이 돌아가는 순환 구조가 되어 다양한 장비, 특히 파종기가 나왔으면 하는 바램”이라고 덧붙였다.
김 팀장은 우리나라 농기계 발전을 위한 최종 목표를 정밀농업 구축이라고 힘주어 말했다. 이번 페스티벌도 그런 의미에서 농진청과 한국정밀농업학회가 공동주관하게 된 이유다.


“정밀 농업 구축으로 새로운 일자리가 창출되고 농민 역시 전문가가 되는 협업시스템으로 인해 업체 간 선의의 경쟁도 기대할 수 있으며 새로운 트레드도 접목하면 뒤쳐진 업체들도 따라 올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라며 김 팀장은 포부를 밝혔다.


<사진=이재학 기자 jaehakxx@kamnews.co.kr>

저작권자 © 한국농기계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